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부동산세 부담 좀 줄어들까…올해부터 재산세 과세표준 증가한도 ‘전년비 5%’ 제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방세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인구감소지역 주택 추가 취득 땐 1주택자 간주


매일경제

7월 재산세 납부안내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상한제‘가 올해 처음 시행된다. 이는 주택 재산세를 산정할 때 사용되는 과세표준의 증가한도를 전년 대비 5% 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이 골자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의 ’지방세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내달 9일까지 입법 예고한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지난해 1주택자 재산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시행한 ’공정시장가액비율 특례‘를 올해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재산세 과세표준 산정 시 공시가격 반영 비율을 결정하는 것으로, 2009년 도입 후 2021년까지 60%로 유지됐다.

하지만 2021∼2022년 공시가격 급등에 따른 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1주택에 한해 한시적으로 2022년 45%로 책정했다. 2023년 주택가액에 따라 3억원 이하는 43%, 6억원 이하는 44%, 6억원 초과는 45%로 더 낮췄다.

아울러 지난해 도입된 주택 재산세 과세표준 상한제를 시행하기 위해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했다.

주택 재산세 과세표준 상한제는 과세표준이 전년보다 일정 비율 이상 과도하게 오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제도다. 기존 재산세 과세표준은 별도의 상한 없이 주택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적용해 산출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당해연도 과세표준‘과 ’직전연도 과세표준 상당액에서 5%가량 인상한 금액‘을 비교해 낮은 금액을 과세표준으로 적용하게 된다.

행안부 추산에 따르면 주택 재산세 부담 완화 조치를 시행하면 올해 총 주택 재산세가 약 5조8635억원이 책정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총재산세(5조7924억원)보다 1.2%(711억원)가량 늘어난 수치다. 공시가격 증가율인 1.3%보다 낮다.

주택 1건당 평균 재산세액은 약 29만6176원으로, 전년 평균 재산세 29만2587원보다 약 3600원(1.2%)가량 증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아울러 행안부는 인구감소지역의 1주택 재산세 특례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마련했다. 1주택 재산세 특례는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에 소재한 1주택을 추가로 신규 취득할 경우 2주택자가 아닌 1주택자로 간주하는 제도다.

대상은 올해 1월 4일 이후 취득하는 공시가격 4억원 이하 주택이다. 행안부 장관이 지정·고시한 인구감소지역(89개) 중 일부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83개 지역이 해당한다.

이번 특례가 시행되면 1주택자가 추가 취득한 주택이 주택 수에서 제외돼 기존 주택에 대한 1주택 특례를 계속 적용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재산세뿐만 아니라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에도 적용돼 관련 세 부담이 함께 줄어들 전망이다.

이와 함께 행안부는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된 아파트를 매입할 시 취득세 지원 대책에 대한 후속 조치사항도 마련했다.

먼저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리츠)가 내년 12월 31일까지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된 아파트를 매입할 경우 법인 취득세 중과세율(12%)을 적용하지 않고, 일반세율(1∼3%)을 적용한다. 빈집 철거 후 지자체와 협약을 맺어 토지를 주차장, 쉼터 등 공익적 용도로 제공하는 경우에도 재산세 부담을 완화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철거 전 주택세액을 재산세 부과 기준으로 삼는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빈집 재산세 부담 완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빈집 부지였던 토지가 주차장, 쉼터 등 주민편의시설로 사용되는 때는 적용되지 않아 지자체가 빈집 정비 사업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지방세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은 입법예고와 국무회의 의결 등을 거쳐 5월 28일 공포되면 즉시 시행돼 올해 재산세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