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1 (금)

박영선, 총리 지명에 관심?…"협치 긴요" 메시지에 해석 분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국무총리 기용설이 불거진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8일 페이스북에 “지금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너무도 중요한 시기여서 협치가 긴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는 서로 마주 보고 달리는 열차처럼, ‘두 도시 이야기’처럼 보여지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윤석열 정부 신임 총리 유력설 보도 이후 첫 반응이다.

박 전 장관은 “지금 오사카에 있다”며 “제가 비행기를 타고 오는 동안 정말로 많은 일이 벌어졌더라. 수많은 분이 전화를 주시고 문자를 남기셨다. 깊은 관심에 감사드린다”고 썼다. 이어 찰스 디킨스의 역사소설 『두 도시 이야기』 서문을 인용하며 “우리는 모두 천국을 향해 가고자 했지만 엉뚱한 방향으로 반대로 나아가고 있었다, 그 시절은 지금과 너무 흡사하게, 일부 목청 높은 권위자들은 그 시대를 논할 때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양극단의 형태로만 그 시대를 평가하려 들었다”고 적었다.

중앙일보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021년 9얼 2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중앙일보 사옥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7일 일부 매체는 윤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 출신의 박 전 장관을 총리로, 또한 문재인 전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을 비서실장으로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 3시간여만에 대통령실은 공식 부인했으나 파장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보도 이후 양 전 원장은 “뭘 더 할 생각이 없다”고 주변에 알렸다고 하지만, 박 전 장관은 직접적인 의사 표현이 없었다. 이날 박 전 장관의 '협치 긴요' 글을 두고도 정치권에선 “총리 지명에 관심을 보인 것”, “총리직을 제안하더라도 받기 어려운 상황을 에둘러 표명한 것” 등 해석이 분분했다.

앞서 박 전 장관은 지난 16일 페이스북에 본인이 쓴 저서 반도체 주권국가』 관련 강의가 있어 예정보다 일찍 귀국한다고 알렸었다. 반도체는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 분야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한 참모는 “윤 대통령이 박 전 장관에 대해 ‘야당 인사이지만 말이 잘 통한다. 그의 조언이 도움된다’는 취지로 말했었다”고 전했다. 여권 관계자는 “거대 야당의 높은 국회 인준 문턱, 윤 대통령과 박 전 장관의 친분 등을 고려하면 '박영선 총리' 카드는 여전히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2007년 민주당 정동영 대선 캠프 당시 박 전 의원이 비서실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수석부실장을 맡았었던 인연도 새삼 회자됐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인 2022년 3월 17일 점심 식사를 위해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장제원 당시 당선인 비서실장 등과 함께 통의동 집무실에서 식당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윤 대통령이 홍준표 대구시장과 지난 16일 서울 모처에서 4시간 만찬 회동을 가졌다는 사실도 뒤늦게 알려졌다. 홍 시장은 이 자리에서 “비서실과 내각을 조속히 개편해야 한다”며 “대통령 비서실장은 정무 감각이 있고 충직한 인물, 총리는 야욕이 없고 야당과 소통이 되는 인물이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구체적 인사로 총리에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비서실장에 장제원 의원을 추천했다고 한다. 다만 장 의원은 통화에서 “비서실장 제안이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새 비서실장 인선과 관련해선 장 의원뿐 아니라 호남 3선 출신의 이정현(전남 순천) 전 의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의 이름이 여전히 거론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다음 주부터 외국 정상 방한 등 대통령 공개 일정이 있어 이번주까지 핵심 인선은 마무리가 필요한 게 사실”이라며 “이르면 내일(19일) 새 비서실장과 국무총리를 동시에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현일훈·박태인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