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대통령실 "G7초청, 의장국 관심의제 따라 선정…협력 변수 안돼"(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대통령, 6월 G7 정상회의 초청 못 받아

대통령실 "유럽, 정세 관계 있는 국가 초청"

G7과 협력, 주요 현안 상시 공조 형태

글로벌중추국가 비전 무색 野지적에 반박

"韓,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국제회의 주최"

대통령실이 20일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초청국은 매년 의장국의 관심 의제에 따라 선정돼 왔으며, 올해 의장국 이탈리아는 자국 내 이민 문제와 연결된 아프리카·지중해 이슈 위주로 대상국들을 선정한 것으로 이해하고 이를 존중한다"고 밝혔다. 올해 주요7개국에 윤석열 대통령이 초청받지 못한 것에 '글로벌 중추외교'를 표방한 윤석열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무색하게 됐다는 지적이 나오자 해명한 것이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언론에 배포한 참고자료를 통해 "유럽국이 의장인 경우, 유럽 정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국가들(주로 아프리카)을 중점 초청해온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2011년도 프랑스, 2015년도 독일, 2017년도 이탈리아의 경우 모든 초청국을 아프리카 국가로만 구성한 바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아시아경제에 "G7 국가가 아닌 만큼 매번 참석하는 건 불가능하고, 특히 이번엔 (트로이카 국가인 인도 제외) 아시아태평양 지역 초청국은 없다"고 전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번 정상회의에는 주요 20개국(G20) '트로이카'(지난해·올해·내년 G20 회의 주최국) 국가인 인도·브라질·남아프리카공화국과 아르헨티나, 이집트, 튀니지, 케냐, 알제리 등이 초청됐다. 한국은 2020년 이후 G7 정상회의에 3차례(2020년, 2021년, 2023년) 초청받았지만, 이번엔 초청받지 못했다.

아시아경제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모습. 윤 대통령은 권위주의 청산을 내세우며 국정 무대를 기존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겼다. 대통령의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되면서 청와대는 국민들에게 완전 개방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G7과의 협력이 정상회의 참여 형태로만 이뤄지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주요 국제 현안에 대한 연중 상시 공조의 형태이며, 올해도 정상회의 외에 여러 G7 장관급회의에 초청받음으로써 분야별 논의에 긴밀히 참여 중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디지털장관회의에 참여했고, 다음 달 재무장관회의에 참여할 예정이며, 7월 과학기술장관회의·통상장관회의, 11월 외교장관회의 등 참여가 유력하다고 전했다.

야권에서 글로벌중추국가 비전이 무색하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글로벌중추국가 비전은 자유, 평화 등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규범 기반의 국제질서를 지켜나가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올해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수임을 통해 우크라이나, 중동, 북한 등 주요한 국제 현안 논의에 주도적 참여 중이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도 2022년, 2023년 초청받아 국제사회 안보 논의에 참여하였고 올해도 3년 연속으로 초청받았다"고 반박했다.

다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통화에서 "미국 외 처음으로 지난달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개최해 국제사회에서 민주주의 증진 노력을 주도했고, 다음 달에도 한국이 국제회의를 주최하는 상황에서 무색하다는 것은 무리한 비판"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다음 달 인공지능(AI)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국제사회 규범 관련 논의를 선도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요20개국(G20) 등 국제무대에서도 G7 및 유사입장국들과 함께 글로벌 경제, 기후, 개발 등 우리와 관련된 주요 이슈에 대해 긴밀히 조율된 입장 제시 중이라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특히 대통령실은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카네기 연구소 등 미국 주요 싱크탱크 보고서에서 한국 참여를 통한 G7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G7 참여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고 한국의 외교적 영향력이 위축되고 있지 않다는 취지로 역설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