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같은 온라인 강의에 사이버대만 차별… 경쟁 출발선 같아야"[인터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재모 원격대학교 발전기획위원회 위원장
사이버교육 20년 몸담은 대학통
교육당국과 정책 조율하는 역할
"일반대와 규제 동일해야" 목소리
학점당 25분 강의 제작 기준 등
성장 옭아매는 규제 개선 시급


파이낸셜뉴스

양재모 원격대학교 발전기획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사이버와 관련해 평등한 규제가 이뤄지도록 지속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양사이버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대학은 온라인 강의를 만드는데 아무런 규제가 없는데, 사이버대학의 온라인 강의는 1학점당 25분 이상 분량이어야 한다는 기준이 있다. 같은 온라인 강의를 만드는데 왜 사이버대학만 차별을 받아야 하는가?"

양재모 원격대학교 발전기획위원회 위원장이 최근 파이낸셜뉴스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같은 질문을 던졌다. 사이버대학과 일반대학의 규제가 수평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답답함이 묻어나는 물음이다.

양 위원장은 강의 제작부터 실습 시설, 해외 진출 등 수많은 규제가 사이버대학의 성장을 옭아매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에는 이같은 내용 등을 포함한 정책연구 제안서를 제작해 교육부에 직접 건의하기도 하기도 했다. 그는 "사이버대학에겐 일반대학보다 엄격한 잣대가 적용된다"라며 "수평적이고 평등한 규제가 이뤄지도록 지속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사이버대 실습시설 규제 완화해야"

원격대학발전기획위원회(발전위)는 원격대학 회원교의 기획처장으로 구성된 위원회로, 사이버대학에 대한 제도 개선을 제안하는 역할을 한다. 교육부가 내놓은 정책에 대해 사이버대학의 합치된 의견을 전하고 전체에 이익이 되는 공동사업을 모색하는 것도 이들의 몫이다.

한양사이버대 입학처장인 양 위원장은 사이버대학계에 약 20년간 몸담은 경력을 인정받아 지난해부터 발전위 위원장을 맡고 있다. 그는 국내에 사이버대학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연구원 자격으로 사이버대학 설립 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양 위원장은 "교육당국이 사이버대학에 대한 제도를 만들 때 어떠한 협의를 거치지 않고 논의된 결과를 통보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발전위는 이에 대응해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사이버대학 간의 의견을 조율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이버대학들의 이해관계가 상충될 때 이를 조율하는 것도 발전위의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양 위원장이 사이버대학의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언급한 건 규제 완화다. 사이버대학과 일반대학에게 동일한 규제를 적용해 공평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예컨대 사이버대학은 일반대학과 달리 연구시설과 부속시설을 짓는데 규제를 받고 있다. '대학설립·운영규정'에 따르면 일반대학의 교사 범위는 교육기본시설, 지원시설, 연구시설, 부속시설까지 인정하는데, '사이버대학 설립·운영 규정'에선 교사 범위는 교육기본시설과 지원시설로 한정하고 있는 것이다.

양 위원장은 "사이버대학의 전공 분야가 넓어지면서 실습 수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며 "실습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선 관련 교육 시설이 있어야 하는데 사이버대학은 이러한 시설을 마련하는데 제약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른 지역 학생이나 해외 유학생이 며칠씩 현장 수업에 참여하려면 기숙사도 필요한데 이를 짓을 수도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 "사이버대학 해외 진출 열어줘야"

해외 진출과 관련한 규제도 있다. 대학이 외국인 학생을 비자 없이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의 경우 사이버대학은 일반대학과 공동으로만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양 위원장은 "사이버대학은 왜 단독으로 참여할 수 없나"라며 "사실상 사업에서 배제된 것과 다름없다. 교육당국은 교육을 오프라인 관점에서만 바라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국제사회에서는 이미 온라인 교육이 일반화돼 있고 미국의 주요 대학도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는 상황"이라며 "사이버대학의 해외진출을 막고 있는 여러 제도적 규제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사이버대학의 특수대학원 설치 기준도 차별적 규제의 예로 들었다. 양 위원장은 "일반대학이 특수대학원을 설립할 때는 교수와 관련한 특별한 요건이 없다"며 "하지만 사이버대학의 경우에는 교수 강의나 논문 수까지 평가한다. 사이버대학 교수들의 능력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 위원장은 사이버대학이 온라인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단순히 온라인 강의를 만드는 것만으로는 변화를 만들 수 없다"며 "사이버대학 학생들은 개개인의 연령, 교육 수준 등에서 차이가 있는데 이 격차를 어떻게 극복하는지가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그는 "사이버대학이 20여년간 쌓아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수업을 만들고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며 "오프라인에서 할 수 없는 수업을 온라인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