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중·저신용자 대출 문턱 높아져… 사잇돌대출 1분기 공급액 ‘반토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그래픽=정서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중·저신용자를 위한 사잇돌대출 공급액이 지난해 1분기보다 40%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이 외면한 사잇돌대출은 인터넷전문은행이 메워나가며 공급액을 채웠다.

사잇돌대출은 SGI서울보증에서 대출원금을 보증해 주는 정책금융 성격의 중금리 대출 상품이다. 근로자(연소득 1500만원 이상), 사업자(연소득 1000만원 이상), 연금소득자(연간 수령액 1000만원 이상)에게 연 6~10% 금리로 1인당 최대 2000만원까지 대출을 해준다. 사실상 제1금융권의 대출이 불가능한 4~10등급의 중·저신용자를 위한 대출상품이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이 올해 1분기 공급한 사잇돌대출은 18억7000만원으로, 지난해 1분기(31억2000만원)와 비교해 40.06% 감소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이 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우리은행 4억7000만원 ▲KB국민은행 3억3000만원 ▲하나은행 3억1000만원 ▲NH농협은행 6000만원 순이었다.

은행권 사잇돌대출 공급은 시간이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다. 5대 은행은 지난해 2분기 취급한 사잇돌대출 공급액은 27억2800만원, 3분기 22억4000만원, 4분기 18억5000만원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은행권이 사잇돌대출 빗장을 걸어 잠그는 데는 지난해부터 고금리가 이어져 대출 자산 부실이 커지자 연체율 등 위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국내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은 0.45%로 지난해 말 0.38%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0.31%)와 비교해도 0.14%포인트 오른 수치다. 은행 연체율은 2022년 6월 0.20%까지 내려갔다가 이후 계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다. 지난해 11월 0.46%를 기록해 4년 만에 최고치까지 오르기도 했다.

조선비즈

서울 명동거리에 붙은 대출 광고물.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사잇돌대출은 신용점수 요건이 강화된 이후 수요와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 금융 당국은 지난 2022년 사잇돌대출 공급액 70%를 신용점수 하위 30% 이하 차주로 채우게 요건을 강화했다. 기존에는 사잇돌대출 이용자 대부분이 1~3등급 고신용자였는데 고신용자의 사잇돌대출 이용이 어려워지면서 수요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해당 규제 이후 SGI서울보증의 보증서 승인율이 낮아지면서 사잇돌대출 공급이 줄었다는 게 시중은행의 설명이다.

저축은행도 상황은 비슷하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은행업계에서 취급한 중금리대출 잔액은 총 7조3717억원으로 전년 동기(11조4407억원) 대비 4조690억원(33.6%) 급감했다. 저축은행의 중금리대출 잔액에는 정책보증대출인 사잇돌대출이 포함돼 있다. 저축은행업계의 경우 여신 건전성 지표가 악화하고 높은 조달금리 여건이 나아지지 않은 상황에서 리스크가 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줄여야 연체율 관리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금융권에서 그나마 사잇돌대출을 적극적으로 제공되는 곳은 정책적으로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치가 있는 인터넷전문은행이다. 사잇돌대출을 취급하지 않은 카카오뱅크를 제외한 인터넷전문은행 2사(케이뱅크·토스뱅크)의 올해 1분기 사잇돌대출 공급액은 661억원으로 시중은행보다 36배 많았다. 공급 건수 역시 1만5626건으로 시중은행(280건)의 55배에 달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연체율 등 위험 부담이 커지면서 사잇돌대출과 같은 서민금융상품 취급이 줄어든 경향이 있다”면서도 “다만 은행에서 사잇돌대출 신청을 받아도 서울보증에서 보증서가 나가야 대출이 승인되는데, 5대 은행을 합쳐도 사잇돌대출 공급액이 18억원 규모인 것을 보면 보증기관의 저조한 승인율이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수정 기자(revis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