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미분양 더 늘어나나...건설업계, 주택공급 재개 앞두고 '긴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4월 총선 이후 아파트 분양시장이 본격적인 성수기에 돌입했으나 미분양 적체 현상이 다시 나타나면서 주택 공급을 앞둔 건설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투자심리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데다 고분양가 논란도 이어져 지역별, 입지별 양극화가 뚜렷해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건설사 '위기설'이 불거진 상황에서 신규 분양사업의 성과가 기업 유동성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24일 부동산업계 및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내달 전국 분양시장에 2만3063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2만492가구로 작년 동월(1만3714가구) 대비 1만가구 정도 늘어난 규모다.

뉴스핌

미분양 아파트가 다시 증가하면서 주택 공급을 앞둔 건설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지방 한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핌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10개 단지, 총 1만1891가구(일반분양 1만247가구), 지방(광역시 포함)은 14개 단지, 총 1만1172가구(일반분양 1만 245가구)가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봄철 분양 성수기를 맞이한 데다 지난 3월 약 3주간 진행된 청약홈 개편, 4월 총선으로 신규 분양이 미뤄진 점도 분양 물량이 대거 풀리는 이유다.

분양 사업이 늘어남에 따라 기대감이 높아져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감소 추세를 보이던 미분양 물량이 다시 고개를 들면서 흥행몰이에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 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6만4874가구로, 전월(6만3755가구) 대비 1.8%(1119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 연속으로 늘었다. 특히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1만1867가구)은 전월(1만1363가구) 대비 4.4%(504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 연속이다. 미분양 수치는 주택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전달한 내용을 기반으로 정부 기관이 취합된다는 점에서 실제 물량은 8만~9만가구에 달할 것이란 게 업계의 시각이다.

대형건설사 주택사업부 한 관계자는 "지방을 중심으로 흥행몰이에 실패한 단지가 증가하고 미분양도 재차 늘면서 기대보다는 긴장하는 분위기가 더 짙다"며 "신규 분양사업에서 초기 청약률과 계약률이 중요한 만큼 명품 가방, 세탁기, 냉장고 등 경품으로 내걸고 견본주택을 찾는 방문객을 늘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에 분양가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것도 건설업계의 부담이다. 3월 말 기준 서울의 ㎡당 평균 분양가격은 1149만8000원으로 전월보다 0.35% 올랐다. 평당(3.3㎡)으로 환산하면 3801만원이다. 서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년 전 3067만8000원 수준이었으나 1년 새 23.9% 상승했다. 5대 광역시 및 세종시의 분양가 상승 폭은 더 가파르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광역시와 세종시의 ㎡당 평균 분양가는 631만1000원으로 전월 대비 13.2% 상승했으며 작년 동월 대비로는 25.9% 뛰었다.

분양 아파트의 장점은 주변시세보다 저렴한 가격과 중도금 납부 기간이 길어 자금조달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점이 꼽힌다. 최근에는 이러한 장점이 퇴색되고 있다. 공사비가 늘면서 분양가가 주변시세를 웃도는 경우가 다반사다. 수도권에서는 후분양 단지가 늘어 중도금 납부 기간도 짧아졌다.

고금리 기조가 예상보다 더 길어질 것이란 분위기도 분양시장에 부정적이다. 올해 들어 미국 경제가 '끈적한 고물가 현상'(sticky inflation)을 지속하면서 연말까지 3차례 정도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최근에는 대폭 후퇴했다.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금리가 높아지면 대출자에는 이자 상환에 부담이 커진다. 이자 부담을 뛰어넘는 집값 상승이 뒤따르면 큰 부담이 없겠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내 집 마련에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주택심리가 빠르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나 주거 선호가 높은 브랜드 아파트,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 등은 지속적으로 주택 수요층이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고금리 장기화, 분양가 상승 등으로 지역별, 입지별 차별화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