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부동산 PF 부실 111조" 외신보도에 금융당국 "과장된 측면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규모가 111조원에 이른다는 해외 언론 보도에 금융당국이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국내 금융회사의 부동산 PF는 135조원이며 연체율은 평균 2.70% 수준이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때 연체율 13.62% 대비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게 당국의 진단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24일 "국내 부동산 PF에 '스트레스' 요인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글로벌 시장에 비춰 한국이 두번째로 위험하다고 지적한 외신 보도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며 "최악의 스트레스 상황을 가정한 부실에 평가 기준이 각자 다를 수는 있지만 111조원이라는 규모는 지나치게 크다고 보여진다"고 밝혔다.

전날 블룸버그통신은 씨티은행, 노무라증권 등의 보고서를 인용해 "위험 소지가 있는 한국의 PF 부채 규모가 111조원에 이른다", "한국이 세계 그림자금융의 약한 고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림자금융 부실을 초래할 수 있는 거래 활동 수준은 한국이 선진국들 가운데 미국 다음으로 두번째"라며 비은행 부문의 부동산 규모가 926조원으로 사상최대 규모라고 지적했다.

이는 지난 3월 금융당국이 공개한 부동산 PF 발표 수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 PF 규모는 135조6000억원이라고 발표했다. 그림자금융으로 지목되는 비은행권 규모는 저축은행 9조6000억원, 여신전문 25조8000억원, 증권 7조8000억원, 상호금융 4조4000억원, 보험 42조원 수준이다.

연체율은 평균 2.70%였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6.94%로 전년 말 2.05% 대비 3배 이상 뛰었고 증권은 13.73%에 이른다. 여신전문사도 4.65%를 기록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역사적 고점 연체율이 평균 13.62%였다는 점에 비춰보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PF 규모에는 새마을금고 대출액이 빠져있고, 저축은행의 토지담보대출도 제외됐다. 증권사의 PF 보증도 빠져 있는 만큼 실제 PF 규모는 공식 발표보다는 수십조원 이상 클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국내 신용평가사인 나이스(NICE)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2금융권인 저축은행, 캐피탈, 증권사의 PF대출 예상손실액이 최대 13조8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했다. 업권별로 저축은행 4조8000억원, 캐피탈 5조원, 증권사 4조원 등이다. 경매시장에서 감정평가액 대비 최종 낙찰가율 하위 25%를 기준으로 한 가장 보수적인 추정치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부실이 한꺼번에 터지지 않도록 대책을 준비 중이다. 부동산 PF 사업장 평가 방식을 발표해 금융회사가 엄격한 기준에 따라 사업장 평가를 하고 충당금을 쌓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사업성이 없는 사업장은 경공매 등을 통해 처분하거나 사업 재구조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권화순 기자 firesoo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