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5월 공법단체 '5·18기념행사' 불참→참석…"시민들에 심려 유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특전사동지회와 행사 비판 쏟아지자 지난해 불참

올해 집행부 바뀌면서 참석으로 의견 모아져

뉴스1

지난해 5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 전야제에서 시민들이 민주평화대행진을 하고 있다.(공동취재) 2023.5.17/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스1) 이수민 기자 = 단체 내 분쟁으로 5·18기념행사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던 공법단체가 행사에 참여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25일 5·18기념재단과 공법 3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는 입장문을 내고 "시민께 심려를 끼쳤던 지난 일에 대해 마음 깊이 유감을 표시한다"며 "올해 44주년 기념행사부터 시민을 모시고 시민사회와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2월19일 5·18민주화운동 부상자·공로자회는 대한민국특전사동지회와 국립 5·18민주묘지에 참배한 뒤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

공동선언식은 43년 만에 처음으로 개최된 5·18 당사자간의 행사로, '계엄군도 피해자로 이번 행사를 통해 국민통합의 첫발을 내딛겠다'는 목적을 일부 성사시켰다.

그러나 '진상규명과 사죄가 이뤄지지 않은 정치적인 행사'라는 광주시민사회단체 등 각계의 반발 속에 강행돼 '화합 없는 일방적 선언'이라는 비판이 잇달았다.

공법 3단체는 이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를 탈퇴하고 지난해 별도의 행사를 진행한 바 있다.

올해는 대국민 공동선언식을 주관했던 부상자회·공로자회 회장단이 아닌 새 인물로 집행부가 꾸려지면서 행사 공동 참여로 의견이 모아졌다.

breat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