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공식 출범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공수처, 채 상병 사건 수사외압 ‘키맨’ 유재은 2차 조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29일 오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위해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 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지목된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사흘 만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다시 출석했다.

공수처 수사4부(부장검사 이대환)는 29일 오전 10시부터 유 법무관리관에 대한 2차 조사를 진행했다. 앞서 공수처는 지난 26일 첫 조사를 진행했다. 당시 조사는 14시간에 걸쳐 이뤄졌다.

유 법무관리관은 이날 공수처 조사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오늘도 성실하게 답변할 예정”이라고 짧게 답했다. ‘이시원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과 통화한 게 맞느냐’ ‘해병대 수사단의 기록을 회수할 당시 누구의 지시로 경북경찰청과 통화했느냐’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유 법무관리관은 해병대 수사단이 특정했던 채 상병 사망 사건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 8명과 관련해 ‘경찰 이첩시 혐의자 및 혐의내용을 특정하지 말라’고 지시하는 등 수사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유 법무관리관은 지난해 8월2일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수사기록을 회수하는 과정에 개입한 혐의도 있다. 당시 유 법무관리관은 오후 1시50분쯤 직접 경북경찰청에 회수 요청 연락을 하거나, 같은 날 오후 이시원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과 통화했다는 의혹도 받는 등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해병대 수사단을 이끌었던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 측은 유 법무관리관이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에 대한 ‘대통령실 개입설’을 입증할 첫 번째 연결고리라고 본다. 공수처도 그를 상대로 해병대 수사단 측에 혐의자 축소 지시를 한 배경이 무엇인지, 대통령실로부터 채 상병 사건과 관련해 어떠한 지시를 받은 사실이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물을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유 법무관리관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관련자들에 대한 조사를 차례대로 진행할 전망이다. 해병대와 국방부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마친 이후에는 대통령실 관련자들을 상대로 수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수처에는 윤석열 대통령, 이시원 비서관, 이종섭 전 장관 등 다수의 현 정부 인사들이 채 상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에 연루된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강연주 기자 play@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심 변화를 지도로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