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정부는 2000명 고집 버려야" 주장한 의사 출신 안철수, 그의 대안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대 증원책을 1년 미루고, 증원 규모를 과학적으로 다시 짜야 합니다." "필수의료를 살리려면 의사들을 의료사고 부담에서 벗어나게 해야 합니다." "지방에 꼭 병원과 의사가 있어야 하는지 따져봐야 합니다."

30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대한민국 의료가 나아가야 할 길'이란 주제로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제일제당홀에서 개최한 긴급 심포지엄의 패널 토론회에서 나온 의사들의 주장이다. 이날 패널로 나선 안철수(의사 출신) 국민의힘 의원, 김태경 캐나다 토론토 대학 교수, 김성근(여의도성모병원 위장관외과 교수)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의 주요 멘트를 정리했다.


안철수 의원 "증원 일단 1년 유예하자"

"국민이 가장 큰 피해자다. 정부와 의료계 동시에 부탁드리고 싶다. 의사와 의대생, 전공의는 환자 곁으로 돌아와야 한다. 정부도 더는 그렇게 강제적으로 2000명 고집하지 말고 1년 유예하고 협의회 만들어서 과학적 데이터 바탕으로 체계적·점진적으로 증원해야 한다. 정치권에서 '순서'가 있다. 뭐든 개혁하기 위해선 맨 먼저 '우군'을 확보하는 일이다. 우군을 확보하려면 예컨대 필수의료 분야에서 지원자가 줄어드는 문제, 의사과학자가 줄어드는 문제, 지방의료가 피폐한 점을 먼저 언론·토론회 등을 통해 공론화해야 한다. 이런 과정 거쳐 숫자(의대 증원 규모)는 제일 마지막에 던지는 게 맞다."

"전공의가 사직서를, 의대생이 휴학계를 냈는데, 이후 곧 벌어질 상황은 다들 알 것이다. 진료 축소는 벌써 시작됐다. 나도 경기도 분당의 병원에 정기검진을 받으러 갔는데 예약이 지연됐다. 사실상 진료 공백은 이미 시작됐다. 병원은 심각한 경영난에 부닥칠 것이다. 특히 지방병원부터, 빠르면 올여름 도산하기 시작할 것이고, 이 여파는 나중엔 '빅5'로 번질 것이다. 그동안 한국이 만들어놓은 의료 시스템이 송두리째 붕괴할 것이다."

"내년에 인턴·군의관·공중보건의가 남아 있겠는가. 1년 휴학한 의대생들이 그다음 복학해도 문제다. 이번에 의대 정원을 1500명 추가로 뽑을 경우 기존 3058명에 이번 휴학생들이 복학하는 규모까지 더하면 7500명가량을 의대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건데, 시설이 있을까. 이는 결국 대한민국 의료 질을 떨어뜨릴 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1년 유예안을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 같다. 현실적으로는 중재안이 나올 것 같다. 의사 1명이 길러지는 데는 10~14년이 필요하다. 지금 1년 유예한다고 해서 얼마나 차이가 날까. 협의체를 구성해 적정 규모를 정해야 한다."

머니투데이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사진=정심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태경 교수 "의료사고로부터 의사 보호해야"

"지금 젊은 세대는 미래가 지금보다 좋지 않을 것이란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의대생과 전공의들에게 미래가 지금보다 좋을 것이란 희망을 품어주는 게 교수들이 해야 할 역할이다. 의사들에게 의료사고가 안 일어난다는 보장은 없다. 확률적으로 몇 퍼센트(%)는 의료사고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필수의료를 살리려면 의사들을 의료사고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국민들께서 이해해주면 좋겠다. 방어적인 의료가 아닌, 최선을 다하는 의료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캐나다에서 한국의 이번 의료대란 사태를 접하고 잠이 안 왔다. 이해가 안 가는 상황이다. 의사들도 이번 일을 계기로 노력해야 할 게 있다. 의사는 국민들과 좀 더 친해져야 한다. 의사는 국민에게 사랑받아야 한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의사는 '전문직'이란 이유로 구름에 싸여있는 듯한 모습이다. 의사들은 지금보다 더 투명해야 하고, 의사들 사이에서도 자정작용을 해야 한다."

머니투데이

김태경 교수. /사진=정심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성근 의협 언론홍보위원장 "의사들도 반성해야"

"현재 전공의 중심의 수련병원이 전문의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 전공의 없이도 병원이 충분히 돌아가야 한다. 전공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부담하는 미국을 참고해볼 필요가 있다. 전문의가 전공의를 교육할 수 있는 제도가 제대로 돌아가야 한다. 필수의료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필수의료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필수의료란 단어를 의료계가 아닌 정부에서 10여 년 전부터 사용했다.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필수의료 개념과 우리나라의 필수의료 개념이 다르다. 진단이 잘못되면 치료도 잘못되듯, 필수의료에 대해 정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법을 만들려면 답이 안 나온다."

"지역의료는 지역 소멸 문제와 같이 접근해야 한다. 꼭 그 지역에 의사와 의료기관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건지, 아니면 지역 환자를 인근 지역의 의료기관에 이송하는 방법을 찾는 게 나을지 찾아야 한다. 의사와 (환자가 아닌) 일반 국민 간의 소통이 중요하다. 의사들도 자기반성을 해야 한다. 대한의사협회는 회원들에 대한 징계권이 없다. 그렇다고 징계받아야 할 대상(의사)이 자유로워선 안 된다. 의사들도 생각만 할 게 아니라 행동할 때가 됐다."

머니투데이

김성근 의협 언론홍보위원장. /사진=정심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