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6 (목)

KAIST “소금섭취 욕구는 장(腸) 신경세포가 조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생명과학과 서성배 교수 연구팀

헤럴드경제

이번 연구를 수행한 서성배(오른쪽) 교수와 황가영 박사과정.[KA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소금 섭취 욕구가 짠맛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장내 신경세포가 나트륨 결핍에 따라 소금 섭취 욕구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카이스트(KAIST)는 생명과학과 서성배(사진) 교수 연구팀이 나트륨이라는 미량영양소에 대한 우리 몸의 새로운 감지 기작과 그 욕구를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소금에 대한 미각 감지 기작을 넘어 장내 신경세포가 나트륨에 직접적으로 반응하고 이 반응이 동물의 소금에 대한 섭취 욕구를 조절하는 새로운 감지 기작으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초파리를 이용해 나트륨 결핍 상태에 따른 소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을 확인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나트륨에 대한 선호도가 소금에 대한 미각 센서가 작동하지 못하는 ‘Ir76b’ 돌연변이 파리에서도 나트륨 결핍 상태에서 소금을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스크리닝을 통해 나트륨을 직접 인지하는 초파리의 장내 신경세포를 발견했으며, 이 신경세포가 나트륨 결핍에 따라 나트륨에 대한 반응 정도를 다르게 해 초파리의 소금 섭취 욕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헤럴드경제

초파리 모델을 이용한 내부 나트륨 감지 연구.[KA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 감지 기작은 소금 결핍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소금에 대한 섭취 욕구는 모든 생물에 존재하는 것이기에 해당 연구는 곤충뿐 아니라 포유동물과 같은 척추동물에서도 유사한 메커니즘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했다.

특히 소금에 대한 섭취 욕구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통해 소금 과다 섭취로 생기는 고혈압 등의 여러 질병에서 새로운 생리학적 측면에서의 접근 방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성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소금의 짠맛과는 독립적으로 장 신경세포를 통해 선호도가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 나트륨 섭취의 생리적 조절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공했다”면서 “소금에 대한 섭취욕은 모든 진화 생물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서 소금에 대한 섭취 욕구를 조절하여 고혈압을 포함한 여러 질병에 생리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4월 3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