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7 (금)

이슈 연금과 보험

국민연금, 위험자산 투자 비중 56→65% 확대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본시장의 큰손’ 국민연금공단이 자산군 간 칸막이를 허물어 자산 배분의 유연성을 추구하는 ‘기준 포트폴리오’를 도입하고, 위험자산 투자 비중을 65%까지 늘리기로 했다.

국미연금 최고의사결정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기금위)는 2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제3차 회의’를 열고 기준 포트폴리오 도입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기준 포트폴리오는 주식·채권·대체투자 등의 자산군별 투자 비중을 미리 확정하지 않고, 시장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투자 비중을 조절하는 개념이다.

지금까지 기금위는 매년 전략적 자산배분(SAA)을 실시해 국내 주식, 해외 주식, 국내 채권, 해외 채권, 대체투자 등의 목표 비중, 허용 범위, 벤치마크(비교 지수) 등을 사전에 정해왔다. 국내 주식 투자 수익률이 올라 해당 자산 비중이 허용 범위를 넘어서면 투자금을 줄여 비중을 맞추는 식이었다.

이처럼 SAA가 칸막이 형태로 이뤄지다 보니 국민연금으로선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데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었다. 경직적인 자산 배분 체계가 의사결정 기간을 늘려 투자 집행을 늦추고, 신규 자산의 유연한 도입을 방해한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됐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자 등장한 게 기준 포트폴리오다. SAA가 각각의 자산에 목표치를 제시한 뒤 벤치마크 대비 성과를 개별 측정하는 방식이라면, 기준 포트폴리오는 좀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자산과 자산 사이의 칸막이를 의식하지 않고 시장 환경에 맞춰 투자 자산 비중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번에 기금위는 자산 배분 체계를 위험자산(주식·대체투자) 65%, 안전자산(채권) 35% 등으로 단순화한 기준 포트폴리오를 도입하기로 했다. 2023년 말 기준 국민연금의 위험자산 투자 비중은 약 56%였다.

국민연금은 기준 포트폴리오를 대체투자 영역에 우선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대체투자 분야에서 사모주식 40%, 부동산 30%, 인프라 30%의 비중으로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기준 포트폴리오가 도입되면 이 비율을 억지로 맞출 필요가 없어진다.

유연한 대체투자가 허용되면 국민연금의 기금 운용 수익률도 개선될 수 있다. 지난해 국민연금은 13.59%(잠정·금액가중수익률)의 투자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다. 역대 최고 실적이다. 그러나 앞선 10년(2013~2022년)의 평균 수익률은 4.70%에 그친다. 같은 기간 10% 넘는 수익률을 낸 캐나다연금투자(CPPI)에 한참 못 미친다.

기금 운용 수익률이 올라가면 국민연금 고갈 시점도 그만큼 뒤로 밀리게 된다. 국회예산정책처 분석에 따르면 국민연금 기금 운용 수익률을 1%포인트(p)만 높여도 기금 고갈 시기를 6년 정도 늦출 수 있다. 서원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CIO)은 “수익률 제고를 위해 자산 배분 체계를 유연하게 개선하고, 투자 다변화를 막힘없이 추진해 국민의 소중한 노후 자금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고 했다.

전준범 기자(bbeom@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