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7 (금)

DGB금융, 1분기 순익 1117억…부동산PF 대손비용 증가 여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DGB금융그룹 2024년 1분기 실적 공시

비이자익 역기저 등에 순익 33.5% 감소

대출자산 성장에 그룹이자익 9.5% 증가

보통주자본비율 3~4년 후에 12% 도달

인더뉴스

사진ㅣDGB금융그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DGB금융그룹(회장 황병우)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이 111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습니다.


1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낸 지난해(1680억원)와 비교하면 33.5%(563억원) 큰폭 감소한 것입니다. DGB금융은 1년전 비이자이익 호조세의 역기저효과라고 설명합니다. 그룹 비이자이익은 지난해 1분기 1940억원에서 1266억원으로 34.7%(674억원) 쪼그라들었습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취약 익스포저(위험노출액)에 대한 대손비용 증가도 실적 감소의 주요원인입니다. 그룹 충당금전입액은 1104억원에서 1595억원으로 491억원 늘었습니다.


이자이익은 은행의 대출자산 고성장에 힘입어 10%가량 불어났습니다. 그룹 이자이익은 3881억원에서 4249억원으로 9.5%(368억원) 증가했는데 이중 대부분인 91.2%(3876억원)는 핵심계열사 대구은행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구은행 원화대출금 잔액은 50조5244억원에서 55조5744억원으로 10.0%(5조500억원) 증가했습니다. 기업대출(32.1조→34.0조원)과 가계대출(17.4조→20.4조원)이 고루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인더뉴스

사진ㅣDGB금융그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195억원으로 1년전(1278억원)보다 6.5% 감소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 기조가 이어진 결과라고 DGB금융은 설명합니다. 대구은행 대손충당금은 668억원에서 1035억원으로 커졌습니다.


DGB금융은 "은행 대출자산의 양적·질적 성장으로 향후 대손비용이 안정된다면 은행 실적은 눈에 띄게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이와 함께 DGB금융의 수익성 지표는 횡보하면서도 업종내 높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건전성 지표는 뒷걸음질했습니다.


금융회사의 수익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1분기 그룹 2.19%, 은행 2.07%에서 추세적으로 동반 하락·상승을 거듭하다 올 1분기 2.14%, 2.02%를 각각 기록하고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연체 3개월 이상 기준)은 그룹(1.03→1.30%), 은행(0.60→0.72%) 모두 상승했습니다. 직전 분기 대비로는 그룹 13bp(1bp=0.01%p), 은행 7bp 올랐습니다.


연체율 역시 그룹은 0.96%에서 1.17%, 은행은 0.54%에서 0.64%로 상승했습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각각 10bp, 3bp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인더뉴스

사진ㅣDGB금융그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1.07% 입니다. 1년전(11.46%)보다 39bp 낮아졌습니다.



DGB금융은 "최근 모든 계열사의 고성장 영향으로 보통주자본비율이 하락했다"며 "은행과 비은행간 위험가중자산(RWA) 재배분 추진 등 비은행 부문 RWA 감축을 통해 은행 외형성장을 커버해 비율을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중기경영계획상 보통주자본비율 12% 도달시점은 3~4년 후로 예상한다"며 "당분간 매 결산기말 기준 11% 이상으로 비율을 관리할 계획"이라고 부연했습니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고금리와 고물가, 지정학적 불안요인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철저한 내부통제와 내실경영으로 자산건전성 안정화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2013~2023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