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크 은평 투시도 [사진 =현대엔지니어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 불황에 팬데믹 이후 근무형태 변화, 위워크 위기 등 전 세계 오피스 시장을 뒤흔든 악재에도 불구하고 서울 프라임 오피스 시장은 견고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3일 글로벌 부동산 기업 컬리어스 코리아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주요 업무 지구 내 프라임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은 약 2%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임대료는 전년 동기 대비 약 7% 상승했다.
권역별 공실률을 보면 도심권역(CBD) 2.1%, 강남 권역(GBD) 1.5%, 여의도 권역(YBD) 2.3% 등이다. 통상 자연 공실률로 보는 5% 미만을 밑도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서울 주요 지역 프라임 오피스는 임차수요가 견고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여의도 권역(YBD)에선 사학연금 TP타워가 준공되어 공급이 늘었지만, 선임차 계약으로 공실률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또 강남권역(GBD)에서는 한국 이커머스 시장 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알리 익스프레스가 강남행을 택하는 등 ‘테크 기업’의 강남권 오피스 선호현상을 알 수 있다. 공실률 1.5%를 기록한 강남권역은 중견 이상 규모의 테크 기업이 선호하는 프라임급이나 A등급 오피스의 공급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이유로 서울 전통적인 업무지구 이외 서울 도심 내 오피스 공급이 계획돼 있거나 새롭게 임차 수요를 끌어오는 신규 지역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핫 플레이스로 부상한 성수동이나 개발호재가 많고 신규 비즈니스 권역으로 주목받고 있는 서울 서북권이 대표적이다.
GTX A노선 수혜지, 서울시의 강북권(서북권·동북권) 대개조 구상, 서울혁신파크 개발 등 개발호재가 집중된 서북권도 빼놓을 수 없다. 지역은 고양 삼송, 원흥, 지축, 수색에 대규모 업무시설이 조성되고 있어 서울 CBD, YBD 등과 접근성이 좋은 은평구가 이들 업무지구들을 연결하는 서울 서북권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런 가운데 서울 은평구에서 오피스 시설 ‘플라이크 은평’이 분양 중이다. 이 단지는 지하 4층~지상 20층, 연면적 7만5000여㎡ 규모에 프리미엄 오피스 447실, 섹션 오피스 190실 등 업무시설 총 637실과 상업시설 119실, 숙박시설 288실로 구성됐다.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이 단지 앞에 있고 1정를 품고 있다. 1정거장 거리에 있는 연시내역에서는 GTX-A노선이 개통될 예정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