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큰돈 버는 의사들, 아무 타격없는데” 의대 교수들, 밤새고 곧바로 외래진료 ‘곡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30 전공의 떠난 자리, 남은 건 의대교수들

헤럴드경제

의대증원안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3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잠시 쉬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교수 중 병원을 떠난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의료현장을 지켜야 하는 책임감에 떠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른 분들도 꼭 알아줬으면 합니다.”

“밖에서 피부 미용하며 큰돈 버는 의사들은 아무 타격 없는데 왜 안에서 묵묵히 일하던 우리가 이런 지경에 처해야 하나 모르겠습니다.”

경남 한 종합병원 내과에서 근무 중인 A 교수는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돌입한 이후 석 달째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이번 사태 이후 큰 타격을 입은 곳은 흔히 필수의료라 말하는 내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이다.다른 과에 비해 입원환자가 많고 뒤로 미룰 수 없는 수술이 많아 일을 손에서 놓을 수 없다. 초창기만 하더라도 전공의들이 모두 빠져나간 공백을 남은 교수진이 분담해서 맡았지만, 전공의 업무였던 당직에 투입돼 밤을 새운 뒤 날이 밝으면 곧바로 외래환자 진료를 하는 시간이 속절없이 길어지고 있다.

헤럴드경제

의대증원안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3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쉬고 있다. 서울성모병원·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은 과로로 인한 피로 누적 등을 이유로 이날 개별 판단에 따라 수술과 외래진료를 하지 않기로 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30대 전공의들에게도 가혹한 당직 체계를 40∼60대 교수들의 체력으로 이어가는 상황이 계속됐다. 전날 오후 8시부터 12시간 당직을 서고 다음 날 아침이 됐는데, 쉴 새도 없이 이날 오후 6시까지 수술과 진료를 해야했다. 밀릴 대로 밀린 외래환자 예약을 모른 체 할 수 없어서다.

그런 와중에 뉴스 등에서 이번 사태의 원인이 탐욕스러운 의사들에게 있다는 소식을 접할 때면 교수들은 박탈감만 느꼈다. 교수가 버는 돈은 개원의보다 적다. 그저 좋아하는 연구를 하며 환자 생명을 살리는 길을 택하자며 자부심과 사명감으로 교수가 된 이들에겐 지금 남아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그러나 이번 사태 뒤 동료 교수들과 만날 때면 '우리 자식이 의대에 가면 절대 필수의료과에 보내지 않을 거다', '이번 사태로 필수의료과만 고생한다는 게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는 푸념을 주고받는다.

헤럴드경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행정법원 앞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업무개시명령 취소, 진료유지명령 취소,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취소 소송을 제기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 교수는 "동료들 생각도 이제는 지칠 대로 지쳐 끝까지 가야 한다는 의견과 뭐라도 좋으니 빨리 결론이 났으면 좋겠다는 의견으로 갈리고 있다"며 "차라리 전공의 사표라도 수리되면 이들이 일반의로 병원에 재취업해 일손을 거들 수 있다는 생각까지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의료진 피로 누적과 함께 전공의 공백으로 인한 병원 경영 상황도 악화하고 있다. 경상국립대병원에 따르면 이번 사태가 발발한 2월 중순부터 3월 말까지 일일 외래환자 수는 2천181명으로 기존 2천371명과 비교해 8% 줄었다.상황은 더 나빠져 4월 한 달 동안 일일 외래환자 수는 1천991명으로 기존보다 16% 감소했다. 병상 가동률도 기존 74%에서 3월 말까지 54%, 4월 한 달간 51%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kacew@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