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이슈 뮤지컬과 오페라

“연극계 큰어른” 故 임영웅 산울림 대표 영결식 엄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극인장으로 엄수...박정자 손숙 전무송 유인촌 등 배웅


매일경제

고 임영웅 산울림 대표 영결식이 7일 엄수됐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故) 임영웅 극단 산울림 대표의 영결식이 7일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야외공연장에서 대한민국연극인장으로 엄수됐다. 동료 연극인들은 연극계 큰어른을 떠나보내며 눈물을 흠쳤다.

이날 오전 7시 임 대표의 빈소가 마련됐던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발인을 마친 뒤 오전 9시께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야외공연장에서 영결식이 치러졌다.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유족과 동료 연극인 100여명이 참석해 고인을 배웅했다.

영결식을 찾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고인은 우리 연극계에 소극장 시대를 열어준 분이다. 저 역시 선생님의 영향으로 소극장을 열었으나 계속 지키지 못해 어깨가 무겁다”면서 “선생님의 그 뜻을 잘 간직해 어려운 연극계가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책임을 나누자”고 말했다.

매일경제

고 임영웅 산울림 대표 영결식에서 추모사 하는 배우 박정자.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우 박정자는 “임영웅 선생님은 한국 연극계 최고의 어른이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선생님과는 산울림 소극장 1주년 기념 공연인 ‘위기의 여자’에서 연출가와 배우로 처음 만났다”고 추억하며 “선생님은 ‘무대 위의 박정자는 너무 뜨거우니 80도의 체온을 20도로 낮추라’고 주문하셨다. 훌륭한 연출가는 배우에게 정확한 요구를 할 줄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설득도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선생님을 통해 배웠다”고 고인을 기렸다.

매일경제

고 임영웅 산울림 대표 영결식에서 추모사하는 유인촌 문체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인의 대표작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디디’를 연기한 배우 전무송은 “선생님은 우리 연극계에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큰 가르침을 남기셨다”며 “‘좋은 연극을 하자’는 선생님의 말씀을 실천하기 위해 연극인 모두 노력하자”고 추모하며 내내 눈물을 보였다.

배우 손숙은 추모사에서 “선생님은 술과 연극 밖에 몰랐던 외곬이었다. 이제 이곳을 떠나 먼저 저쪽 세상에 가 있는 ‘고도를 기다리며’ 원년 배우들과 함께 신나게 연극을 하시지 않을까 싶다”면서 “저도 곧 갈 테니 선생님과 그곳에서 한바탕 신나게 놀고 싶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故 임영웅 극단 산울림 대표. 제공|산울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영웅 대표는 지난 4일 새벽 노환으로 입원 중이던 병원에서 별세했다. 향년 89세.

서울에서 출생한 고인은 서라벌예대를 나와 1955년 연극 ‘사육신’을 연출하면서 연극계에 데뷔했다. 1969년 부인인 번역가 오증자 씨가 번역한 사무엘 베케트의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를 국내 초연한 이후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며 한국 연극의 위상을 높였다.

특히 ‘극단 산울림’은 고인의 삶 그 자체였다. 1970년 산울림을 창단한 고인은 1985년 서울 마포구 홍대 인근에 산울림 소극장을 개관, 완성도 높은 연출로 문제작들을 무대에 올렸다. 산울림은 대학로 대표 소극장으로 지난 3월 폐관한 김민기의 ‘학전’과 더불어 한국 소극장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다. 고인은 극단 산울림을 통해 ‘고도를 기다리며’를 1969년부터 50년간 1500회 이상 공연하며 22만명이 넘는 관객들을 만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고인은 2019년 문화예술 공로자에게 주는 최고 훈장인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한국백상예술대상과 동아연극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서울시 문화상, 파라다이스상 문화대상 등도 수상했다.

산울림 소극장 임수진 극장장이 고인의 딸이며, 임수현 산울림 예술감독(서울여대 불문과 교수)이 고인의 아들이다. 내년이 산울림 소극장 개관 40주년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