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어쩐지' 2박3일에 전기료 36만원 나온 제주 숙소…사건의 전말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업주 조카가 대신 관리하다 요금 잘못 책정

제주도 "업주-이용객 오해 푸는 중"

제주 한 숙소의 '전기료 폭탄' 문제가 숙소 관계자의 단순 실수로 인한 해프닝으로 마무리됐다.

12일 온라인 커뮤니티 에펨코리아에는 '제주도 2박 3일 에어비앤비 숙소 전기세('전기료'의 오기) 이게 맞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자신이 군인이라고 밝힌 글 작성자 A씨는 지난 4월 22~24일 자신을 포함한 군인 친구 4명이 제주도로 여행을 갔다.
아시아경제

제주의 한 에어비앤비 숙소가 이용객에게 보낸 문자[이미지출처=사회관계망서비스(SNS) 캡처]


A씨는 공유 숙박 플랫폼 '에어비앤비'를 통해 숙소를 예약했고, 이 숙소는 숙박비만 내고 전기료와 가스비는 별도로 후불 납부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A씨는 숙소로부터 받은 문자 메시지에 충격을 받았다. 숙소 호스트가 보낸 메시지에는 "게스트님에게 후불제 공과금인 가스, 전기 요금 정산이 완료돼 연락드렸다"며 "2박 3일간 가스비(온수,난방) 2707원과 전기료 36만6040원, 총 36만8747원이다. 입금 확인을 위해 올림 하지 말고 1원 단위 맞춰서 송금 부탁드린다"고 적혀 있었다.

A씨는 "저희가 따로 코드를 꽂아 뭘 하지도 않았고, 에어컨도 당시 비가 와 추워서 켜지도 않았다. 외출할 때 불도 확실하게 껐다"며 "전기를 과다하게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도 여행 잘 아시는 분들, 에어비앤비 잘 아시는 분들 원래 이 가격이 맞냐"며 "저 포함 (일행) 전부 20대 초 사회생활도 별로 안 해본 군인들이고, 이런 경우가 처음이라 여쭤본다. 어떻게 해야 하나?"는 질문으로 글을 마쳤다.

이 사연을 본 누리꾼들은 공분했다. 더구나 최근 제주도 관광지의 일부 식당에서 살보다 비계가 훨씬 더 많은 '비계 삼겹살'이 논란이 된 데 이어 전기요금 과다 청구까지 알려지자 누리꾼들은 더 큰 분노를 드러냈다. 이들은 "전기료 36만원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격", "이러니 제주도 아무도 안 가려 하지", "아무리 장정들이 3일 동안 전기를 사용했다 하더라도 전기세가 36만원, 이게 가능한 수치인가", "36000원을 잘못 쓴 거 아니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숙박 업체는 에어비앤비 공지에 "전기료와 가스비는 12월 하루 평균 8000원 정도, 1~2월은 하루 평균 1만원 정도, 3월은 하루당 5000원 정도 나온다. 그 외의 다른 기간은 평균적으로 그것보다도 적게 나온다고 볼 수 있다"며 "전날 다른 손님이 난방을 때우고 간 호실은 온기가 남아 난방비가 좀 적게 나오고, 전날 공실이었던 호실은 상대적으로 약간 더 나오는 등의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계량기 측정 수치만을 기준으로 부과한다"고 안내 중이다.

논란이 커지자 제주도와 제주시, 제주관광협회가 직접 나서 사실관계를 파악했다. 그 결과, 문제가 된 문자는 농어촌민박업소로 등록된 해당 업체의 단순 실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도 관계자는 "업주가 잠시 조카에게 운영을 맡겼는데 그 과정에서 실수로 전기요금을 잘못 책정해 보낸 것으로 파악했다"며 "현재 업체 측이 관광객과 오해를 풀고 있다"고 전했다. 제주도는 해당 업소에 대해 농어촌민박사업자 준수사항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등을 추가로 조사할 예정이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