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美 대장 개미' 귀환에 다시 뜨거워진 밈주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년 전 공매도 반란 이끈 질

SNS재개에 게임스톱 74%↑

AMC코인도 1713%나 뛰어

일각선 "일시적 현상" 분석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가 또다시 ‘밈 주식(유행성 주식)’ 열풍에 휩싸였다. 2021년 기관들의 공매도에 맞서 개미들의 반란을 이끌었던 ‘대장 개미’ 키스 질이 3년 만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모습을 드러내면서다.

13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게임 소매점 체인인 게임스톱의 주가는 정규장에서 74.4% 폭등한 30.45달러에 마감했다. 이어 시간외거래에서도 20% 상승해 주가는 현재 36.75달러다. 게임스톱의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39억 7000만 달러(약 5조 4361억 원) 증가한 93억 2000만 달러가 됐다.

게임스톱뿐만이 아니다. 또 다른 밈 주식인 극장 체인 업체 AMC엔터테인먼트는 이날 78.35% 상승 마감했다. 시간외거래에서도 23.7% 올랐다. 헤드폰 회사인 코스는 37% 급등했다.

밈 주식 매수세는 ‘포효하는 고양이(Roaring Kitty)’라는 계정을 사용하는 질이 이날 자신의 X(옛 트위터)에 그림 한 장을 게재하면서 시작됐다. 편안하게 게임을 즐기던 남성이 이제부터 제대로 해보겠다는 듯 자세를 고쳐 앉는 그림이었다. 이는 2021년 6월 새끼 고양이가 잠드는 게시물 이후 3년 만의 게시물이다.

개인투자자인 질은 2021년 기관투자가들이 게임스톱 주식에 대한 공매도에 나서자 이에 반발하면서 개미들의 반란을 이끌어낸 인물이다. 보험사에서 마케팅 직원으로 일하던 질은 2019년부터 유튜브와 X를 이용해 게임스톱에 대한 투자 일지를 올렸으며 기관들의 공매도가 시작되자 이에 대한 부당함을 알렸다. 개인투자자들이 그의 의견에 동조하며 잇따라 매수에 나서면서 2021년 1월 초 4달러대이던 게임스톱 주가는 1월 말께 86.9달러로 1000% 이상 상승했다. S3파트너스에 따르면 당시 개미들의 매수로 공매도에 나섰던 헤지펀드들은 약 50억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S3파트너스는 이날 질의 등장으로 게임스톱 주식이 급등해 공매도 중이던 헤지펀드들이 또다시 8억 3800만 달러의 손실을 봤다고 분석했다.

시장의 관심은 밈 주식 열풍이 확산될지에 모아진다. 현재 밈 주식 투자 분위기는 가상자산으로까지 번졌다. 극장 체인의 이름을 딴 AMC 코인은 1713% 폭등했으며 게임스톱 코인은 440% 뛰었다. 이들 코인은 실제 해당 기업과는 관련이 없다. 이름에 고양이가 있다는 이유로 키티 코인은 405% 상승했다. 파이낸셜인사이트의 회장인 피터 애트워터는 “투자자들은 엄청난 방식으로 포모(FOMO·수익 소외 우려)를 느끼게 됐다”며 “투기 자산에 뛰어들 때 투자자들의 자신감은 극도로 높으며 이날 시장의 움직임은 자신감이 표출되는 방식의 하나”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21년과 달리 시중금리가 높은 데다 재택근무도 줄어드는 등 투자 여건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그레이트힐캐피털의 토머스 헤이스 의장은 “2021년에는 투자자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지원금으로 현금 더미에 앉아 있을 때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며 “당시와 같은 밈 주식 열풍이 재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