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3 (목)

"내수기업 꼬리표 뗀다"…글로벌 향하는 '함영준號' 오뚜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오뚜기 아메리카 공장 [사진=오뚜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창립 55주년을 맞은 오뚜기가 수출 기업으로 입지를 다지기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오뚜기는 전체 매출 중 국내 비중이 90%에 달할 정도로 내수 의존이 강한 기업이다. 포화상태인 국내 시장에서 큰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기에 반드시 해외 시장을 확대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오뚜기는 미국 생산공장 설립 추진과 할랄 시장 공략을 통해 매출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경쟁사 대비 해외 진출이 느렸던 만큼 단기간 눈에 띄는 성적을 내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함영준 오뚜기 회장의 오랜 숙원사업인 만큼 올해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뚜기의 지난해 매출은 3조45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7.3% 늘어난 2549억원이다.

지난 2022년 10월 자회사로 편입된 식품첨가물 제조사 조흥의 연간 실적이 반영되고 유지류 등 업소용 제품 판매가 늘면서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오뚜기는 주력 상품인 라면뿐 아니라 카레, 케챂, 마요네스 등 내수 시장에서 1위 자리를 지켜온 장수 제품이 많다. 오뚜기 전체 매출 중 국내 비중은 약 90.4%다.

반면 해외 사업 매출 비중은 9.6%로 국내에 비해 매우 낮다. 지난해 해외 매출은 33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으나 비중은 0.6% 감소했다. 수출액에서 라면의 비중은 40% 정도다.

국내 주요 라면 3사 중 오뚜기의 수출 비중도 가장 적은 편이다. 삼양식품은 2019년 처음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50%를 넘어선 이후 지난해 전체 매출에서 해외 비중이 68%로 확대됐다. 농심 신라면의 경우 2021년부터 해외 매출이 국내를 넘어섰고 비중은 약 60%에 달한다.

오뚜기는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 지난해 글로벌사업부를 글로벌사업본부로 격상하고, 김경호 전 LG전자 부사장을 글로벌사업본부장(부사장)으로 영입했다. 김 부사장은 LG전자에서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와 체계적인 사업 인프라 구축으로 수익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뚜기는 김 부사장이 이끄는 글로벌사업본부를 중심으로 올해 해외 수익 확대에 나설 전망이다. 최근 함 회장과 황경만 오뚜기 대표 등 주요 경영진들이 ‘글로벌’을 언급하며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함 회장은 올해 1월 임직원 대상 신년 메시지에서 “창립 55주년을 맞이해 ‘보다 앞선 식품으로 보다 앞선 기업’이 되는 글로벌 오뚜기가 되도록 전진하자”고 주문했다. 황 대표도 3월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올해 시장 변화를 주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오뚜기는 현재 중국, 대만, 미국 등 65개국에 라면, 소스류, 냉동간편식 등을 수출하고 있다. 대부분의 물량은 국내에서 생산해 해외로 수출하고 있는데 본격적인 현지 생산을 늘려 해외 사업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오뚜기는 미국, 중국, 뉴질랜드, 베트남 등 총 4개의 해외법인을 두고 있다. 중국과 뉴질랜드법인은 제품보다는 원료 중심 생산이 이뤄지고 있고 미국법인은 제품 판매, 베트남법인은 제품 생산·판매를 병행하고 있다. 미국과 베트남을 중심으로 미주, 동남아 시장 확대를 도모할 계획이다.

오뚜기는 지난해 미국법인 ‘오뚜기아메리카홀딩스’에 산하 생산법인 ‘오뚜기푸드아메리카’를 출범했고, 현재 미국 생산 공장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공장 부지 매입까지 완료된 상태이며 착공에 앞서 현지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해당 공장에서는 라면뿐만 아니라 소스, 간편식 등 다양한 품목의 생산을 검토하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할랄 라면 시장 진입을 위한 베트남 생산 공장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오뚜기는 지난해 8월 설비투자 목적으로 베트남 법인에 1000만달러(약130억원) 유상증자를 진행했다.

할랄은 ‘허용된 것’이란 뜻을 지난 아랍어로, 이슬람 율법에 따라 이슬람교도가 먹을 수 있게 허용된 식품이다. 현재 라면 생산시설 할랄 인증 허가 절차를 준비 중이며, 전용 생산기지는 올해 상반기 완료될 예정이다. 연말 할랄 라면 시장 진입을 목표로 한다.

오뚜기 관계자는 “올해 해외 매출 목표치는 대외비라 공개하기 어렵다”면서도 “수출 국가를 70개국으로 늘려 연간 라면 수출액 10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아령 기자 kimar0604@economidaily.com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