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인천 동암역·부천 중동역 인근 5000호 규모 공공주택 복합지구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인천 동암역과 부천 중동역 인근 등 3곳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하고 5000호 규모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불광근린공원, 창2동 주민센터 등 서울 4개 지역은 예정지구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는 16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 예정지구였던 인천 동암역 남측(1800호·5만3205㎡), 경기 부천 중동역 동측(1536호·4만9959㎡)과 서측(1680호·5만3930㎡) 등 3곳을 본 지구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도심복합사업은 사업성이 낮거나 주민 갈등으로 민간 정비사업이 어려운 노후 도시를 공공이 주도해 용적률 등 혜택을 주고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정부가 후보지를 지정하고 주민 절반 이상이 동의하면 예정지구 선정 등을 한다. 시·도지사(광역자치단체)가 복합계획을 세운다.

지구 지정 이후에는 별도의 법적 요건이 없어서 사업 속도가 4~5년 정도로 빠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시행하고 현물선납과 수용방식으로 한다. 시행 주체가 주민(조합)이고 관리처분방식으로 진행해 10년 넘게 걸리는 재개발사업과 차이가 있다.

도심복합사업 지구는 지금까지 전국 16곳 2만3400호가 지정됐다. 이번에 지정된 3곳은 지난해 7월10일 예정지구로 지정된 후 주민 3분의 2 이상(토지 면적 2분의 1 이상)의 동의를 확보했다. 내년 사업 승인,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입주)이 목표이다.

예정지구로는 서울 은평구 불광근린공원(2150호), 도봉구 창2동 주민센터(584호), 중랑구 상봉터미널(1168호), 중구 약수역(1616호) 총 4곳 5500호가 지정됐다.

2021년 3월 도심 복합사업 선도사업 후보지로 지정됐던 창2동 674 후보지는 주민 참여의향률이 50% 이하로 집계돼 사업 대상에서 제외됐다.

국토부는 연말까지 1만호에 대한 사업을 승인하고, 1만호 이상을 복합지구로 추가 지정할 예정이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