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트럼프 관세에 '발끈'했던 中, 바이든 관세에는 '잠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화통신 "나를 죽이지 않는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명언 인용

자유무역 원칙 수호 '명분' 챙기고 수출 강국돼 버틸 체력有

중국측이 美 선거전 이해하고 있다는 분석도

아주경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관세 인상안 관련 서명을 하는 모습 [사진=EPA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자국산 전기차, 철강 등에 '관세 폭탄' 결정을 내린 미국에 반발하면서도 이렇다 할 보복 조치에 나서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6년전 트럼프 정부가 중국에 관세 공격을 감행했을 당시 곧바로 맞대응에 나선 것과는 판이한 행보로, 이를 둘러싸고 여러가지 추측이 나오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4일 발표된 미국 정부의 관세 인상 결정에 대해 자국 이익 보호를 위해 '단호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중국은 이러한 원론적 대응 외에 관세 부과 등 실제적 조치를 내놓고 있지 않고 있어, 트럼프 행정부 당시 중국의 행보와 다르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로이터 통신은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이 충분히 대응할 여력이 있다고 보도했다. 6년 전과 달리 첨단산업 수출대국이 된 중국에겐 이번 조치가 그리 큰 피해로 다가오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중국 주재 미국상공회의소(암참) 회장 션 스타인은 이번 조처에 대해 "중국은 정말 이런 관세를 놓고 싸우고 싶어할까"라며 "(기대치에 비해 관세가) 가장 낮은 수준이고 제한됐다"고 말했다.

6년 전과 현재 중국의 위상은 다르다.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2018년 대비 연간 자동차 생산량을 8배 끌어올리며, 중국을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만들었다. 아울러 중국은 동남아시아와 유럽으로 시장을 넓힐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 최대 통신 장비 업체 화웨이는 2019년 관세 폭탄에도 살아남아 중국산 반도체 수요를 주도하며 애플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이를 두고 중국 국영 신화통신은 미국 관세 관련 논평에서 "나를 죽이지 않는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명언을 중국 테크 기업 상황에 비유했다.

중국은 다소 차분한 대응으로 '도덕적 우위'에 올라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싱크탱크 중국세계화센터의 창립자 겸 회장 왕 후이야오는 로이터에 "중국은 도덕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며 "국제 표준과 규범을 어기는 이들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평했다. 중국 상무부도 이번 관세인상에 대해 미국이 지난해 말 시 주석과 바이든 대통령이 합의한 양국 간 합의 정신을 깨트렸다고 지적했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무역 전쟁을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은 이번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11월 대선을 의식한 일시적 조치로 보면서 맞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앞서 미국은 이미 재닛 옐런 재무장관 등의 방중 당시 관세 인상 조치를 예고한 바 있고, 미국이 발표한 관세 조치도 실제적으로는 그리 강력한 조치가 아니라 중국 등도 암묵적으로 이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2차 무역전쟁'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왕 후이야오 회장은 "이번 바이든 (관세) 조치의 관건은 선거로 인한 것"이라며 "이는 트럼프가 했던 것과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그(트럼프)는 당시 이미 1년 동안 대통령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선거보다는 무역 전쟁을 추구하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아주경제=최은솔 기자 scottchoi15@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