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尹대통령, ‘국가유산청’ 출범식 참석…“‘글로벌 문화 중추국’ 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대전 서구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국가유산청 출범식에서 출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17일 “국가유산을 세계에 널리 전하고 알리며 80억 세계인과의 문화적 교감을 확대해 대한민국을 명실상부한 ‘글로벌 문화 중추 국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국가유산청 출범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국가유산청은 문화재청의 새 이름으로 지난 2월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바뀌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행사는 국가유산청이 출범한 것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고, 새로운 국가유산 체계를 도입해 국민이 행복한 국가유산을 만들겠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오늘은 ‘문화재’라는 오랜 이름이 ‘국가유산’으로 바뀌는 역사적인 날”이라며 “그동안의 문화재 관리는 유산을 보존하는 데 집중하는 ‘과거 회귀형’이었다면 앞으로는 국가유산을 발굴, 보존, 계승하는 동시에 더욱 발전시키고 확산하는 ‘미래 지향형’ 체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윤 대통령은 “국가유산의 대상과 범위도 크게 넓히겠다”면서 “무형유산이 기능 전수라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풍습·민속·축제를 비롯한 우리 민족 고유의 삶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담게 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국 곳곳의 아름다운 자연유산도 이제 국가유산으로 관리하겠다”며 “국가유산은 그 자체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유산을 우리 사회 발전의 동력이자 국민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문화자산으로 만들어 가겠다”며 “특히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들이 국가유산을 함께 발굴하고, 배우며 즐길 수 있도록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데 더욱 힘을 쏟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출범식에는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최종수 성균관장, 이원 대한황실문화원 총재 등 국가유산 관련 단체 인사를 포함한 700여명이 참석했다.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중에도 국가유산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 선생과 차일혁 경무관의 후손도 자리했다. 정부에서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배용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등이 자리했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문화재의 명칭과 관리 체계를 시대변화·미래가치·국제기준을 반영해 문화·자연·무형유산으로 개편했다. 또한 국민 편의를 높이는 다양한 국가유산 정책을 추진해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전통 문화유산의 미래 문화자산 도약’을 실현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조진수 기자 rokmc4390@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