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때 행방불명 제적된 초1 이창현 군에 명예졸업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80년 5월 초등학교 1학년생으로 5·18 행방불명자인 이창현군이 5·18 44주년을 맞아 17일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명예졸업장을 받았다.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이 군은 앳된 얼굴로 형형색색 한복·도령모를 갖춰 입고 찍은 돌 사진만 남겼고, 5·18 관련 행방불명자 178명 중 1명으로 기록돼 있다.

세계일보

17일 광주 서구 양동초등학교에서 5·18당시 8살의 나이로 행방불명된 이창현군의 명예졸업식이 열리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 이귀복씨에 따르면 이군은 1980년 5월 당시 양동국민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광주의 모든 학교에 휴교령이 내려지면서 등교하지 않은 채 집에 머물렀고, 5월 19일 집 밖에 나갔다가 행방불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생업을 위해 아버지는 전남 지역에서 살고 있었고, 어머니도 생업을 위해 외출한 상태라 집 안에는 이 군 혼자였다. 이귀복 씨는 “도심을 오가는 군인들의 행렬을 바라보다가 시민들이 외치는 소리가 궁금해 밖으로 나간 것 같다”고 추정했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이 군의 어머니는 사라진 이 군을 찾기 위해 인근을 돌아다니며 수소문했으나, 이 군의 행적을 찾지 못했다. 계엄군에게 인상착의를 말하며 행방을 묻기도 했는데, “이 난리에 어디서 찾겠냐. 집에 가서 남은 자식들이나 잘 돌보라”는 답변만 돌아왔다고 했다.

혹여나 집으로 돌아올까 봐 밤잠을 설치며 기다렸고, 계엄군에 의해 다치진 않았을까 하며 지역 병원·야산을 뒤졌지만,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자식을 잃어버렸다는 아픔에 어머니가 1981년 광주를 떠나면서 이 군의 가족은 뿔뿔이 흩어지게 됐는데, 아버지는 이 군의 행방을 계속해서 쫓았다.

세계일보

5·18 행방불명자 이창현 군. 연합뉴스


주위 사람들의 조언으로 이 군에 대한 5·18 관련 행방불명자 신고를 했고, 9년이 흐른 뒤에야 가까스로 이 군의 흔적을 발견하게 됐다. 1989년 5·18 민중항쟁유가족회의 '광주민중항쟁비망록' 출판기념회가 열리던 날 비망록 한편에서 시민군에 뒤섞여 있는 아이가 찍힌 사진을 발견하고 이 씨는 자기 아들로 확신했다.

명확한 검증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원연구원에 감정 의뢰를 했지만 자료가 유실됐다는 이유로 지지부진 조사에 소송까지 벌였다. 그러던 중 소송을 담당한 변호인으로부터 이 군이 1980년 5월 21일 죽은 것 같다는 소식을 전해 듣긴 했으나 이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당시 시청 직원으로부터 1980년 5월 29일 인성고등학교 야산에 묻혀있던 이 군의 시신을 파냈다는 진술에도 유해를 찾지는 못했다.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도 5·18 행불자 중 10세 이하 어린이들을 분류해 소재 파악에 나섰으나 행적을 파악할 실마리를 발견하지 못했다.

국내외 입양기관에 대해 전수조사도 했는데, 이 군에 대한 입양 기록·신원 등의 관련 자료는 없었다. 5월 27일 옛 전남도청 일대에서 시민군과 모여 있던 한 아이가 이 군인 것 같다는 확실치 않은 진술만 나왔다.

조사위 관계자는 “계엄군이 시위대를 연행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이 함께 연행됐는지 여부를 조사했다”며 “이 군으로 특정할만한 진술이나 증언은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광주시교육청은 행방불명자이기는 하나 이 군을 기리고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명예졸업장 수여를 결정했다.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어린 나이에 행방불명됐고, 학교에서 제적당하는 등의 시련을 유가족들이 겪었다”며 “44주년을 맞아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명예졸업장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광주=김선덕 기자 sdki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