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秋 탈락' 강성 친명 분노…野일각 "당과 이재명엔 잘된 일"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원식 의원이 추미애 당선인을 꺾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장 후보 경선을 두고 친명계는 당혹감을, 강성 지지층은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명심(이재명 대표의 의중)’의 선택을 받았다는 추 당선인이 탈락한 대이변에 내부 동요도 적지 않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넓게 보면 당과 이 대표 모두에게 잘된 일”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중앙일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우원식 의원이 16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을 위한 당선자 총회에서 이재명 대표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복수의 당 관계자에 따르면 의장 경선이 불붙기 전만해도 이 대표의 의중은 추 당선인과 거리가 있었다고 한다. 기류가 달라진 것은 소위 '개딸(개혁의 딸)' 등 강성 친명 팬덤에서 ‘추미애 의장론’이 불붙으면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친명계 인사들은 “추 당선인이 선봉에서 특검법과 각종 개혁 법안을 밀어붙이면 이 대표가 져야 할 리스크가 분산될 것”이라는 논리도 폈다고 한다.

하지만 동시에 “추 당선인이 ‘강성 의장’ 행보로 개인 정치를 할 것”(야권 관계자)이라거나 “중립을 지켜야 할 국회의장이 선봉에 서면 독주 이미지만 강해질 것”(수도권 중진 의원)이라는 우려도 커졌다. 이 때문에 추 당선인보다 상대적으로 온건하다고 평가받는 우 의원이 의장 후보로 선출되자 “나쁠 게 없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이다. 한 친명계 의원은 “추 당선인을 밀어붙인 일부 친명계의 체면이 구겨졌지만, 당 전체로 보면 실보다는 득이 크다”고 평가했다.

여당에서 “두렵다”(윤상현 의원)는 반응이 나온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다. 여당 중진의원은 17일 통화에서 “여당 당선인들은 당 위기에도 쉬쉬하는데, 오히려 민주당 당선인들이 ‘이재명 일극 체제’를 속도 조절하는 인상을 줬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퇴장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 당선인의 의장 낙마로 친명계 법사위원장 등장과 이 대표의 연임론은 외려 탄력을 받게 됐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친명 원내대표에 이어 국회의장까지 ‘명심’의 선택을 받은 인사가 선출되고, 강성 법사위원장 및 이 대표 연임까지 이어지면 ‘일당화’ 논란은 불가피했다. 하지만 추 당선인 낙마로 적어도 국회의장 선출에서는 ‘명심’이 비껴갔다는 인상을 준다는 것이다. 민주당 3선 의원은 통화에서 “향후 선명성이 강한 법사위원장이 나오고, 이 대표 연임 수순으로 가더라도 최소한의 방어장치는 마련된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이 ‘민주당 법사위원장’을 반대하고 있지만, 야권에서는 이미 차기 법사위원장으로 정청래·박주민 의원과 이언주·전현희 당선인 등이 거론되고 있다. 동시에 정청래·장경태 최고위원 등 친명 지도부는 이 대표의 연임론을 연일 띄우고 있다. 이 대표는 휴가에서 복귀한 16일 연임설에 대해 “대표 임기가 넉 달 가까이 남았기 때문에 깊이 생각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을 아꼈는데, “적극적으로 부인하지 않고 여지를 남겼다”는 해석이 나왔다.


이 대표는 17일에도 연임 언급을 피했다. 대신 당 최고위 회의에서 “28일 본회의에서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을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며 쟁점 법안 처리를 강조했다. 의·정 갈등을 두고는 “정부의 의료 인력 2000명 증원 발표 뒤 정작 필수 지역 의료 강화 논의는 사라졌다”며 “여·야·정과 의료계 4차 협의체가 참여하는 국회 논의를 시작하자”고 촉구했다.

중앙일보

4월 25일 만찬회동을 한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민주당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같은 날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6년 6월 지방선거 전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대선을 지방선거와 함께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윤 대통령의 임기를 두곤 “명예롭게 자신의 임기 단축과 개헌에 동의하면 역사에 남을 것”이라며 “대통령 5년 단임제는 4년 중임제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민주당에서도 친명계를 중심으로 윤 대통령의 임기 단축을 염두에 둔 4년 중임제 개헌 제안이 잇따랐다. 이 때문에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본격적인 보폭 맞추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