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라인사태 유탄맞나"···네이버 웹툰·제페토 日 수익성 비상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외사업 줄줄이 영향권

사실상 네이버 소유 '라인 망가'

늘어나던 日 고객 이탈 가능성

메타버스 플랫폼도 日지분 증가

라인야후 매각땐 지배력 잃을수도

日, 소뱅 등 자국 기업 육성 야심

"AI시대 네이버 중장기 경쟁력 시급"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라인야후 사태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가 일본에서 전개하고 있는 사업들이 단기적 영향을 받을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번 사태로 라인야후에 대한 네이버의 영향력과 지배력이 축소되면서 웹툰과 메타버스 등 일본 내 사업에서도 입지가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17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웹툰과 메타버스 등 네이버가 일본에서 전개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이번 라인야후 사태에 따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네이버가 일본에서 전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라인망가’가 있다. 라인망가는 ‘라인’ 이름이 붙었지만 사실상 네이버 소유나 마찬가지다. 네이버의 웹툰 사업을 총괄하는 웹툰엔터테인먼트가 라인망가 운영사인 라인디지털프론티어(LDF)의 지분 과반을 보유하고 있다. 웹툰엔터테인먼트의 지분은 네이버와 라인야후가 각각 71.2%, 28.8%를 보유 중이다.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웹툰엔터테인먼트와 라인망가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자칫 일본 내 반한 감정이 촉발돼 이용자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로 일본 사용자들은 다른 국가의 기업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편이다. 네이버가 라인의 성공적인 일본 정착을 위해 최대한 한국 색채를 빼고 소프트뱅크와의 협업을 결정한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11월 라인의 개인정보 유출 소식이 알려진 후 일본 내에서는 “언제까지 한국 기업(라인)에 의존할 수 없다”며 “라쿠텐이 인수한 모바일 메신저인 ‘바이버’를 이용하자”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제는 네이버가 콘텐츠 사업의 주요 허브를 일본으로 삼고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 네이버웹툰은 2013년 일본 진출 이후 라인망가 브랜드를 론칭했고 지난해에는 라인망가가 최초로 연 거래액 10억 엔(약 88억 원)을 기록하는 등 순항 중이었다. 또한 네이버웹툰이 유럽 법인 설립 계획을 두고 장기적 재검토에 들어가는 등 사실상 철회 의사를 밝히면서 일본 시장이 더욱 중요해진 상황이다. 실제로 앞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역시 지난해 연간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2023년 일본 내 연간 거래액이 1000억 엔(약 8710억 원)을 돌파했다”며 네이버웹툰의 일본 시장 성공을 주요 성과로 꼽은 바 있다.

아울러 일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도 이번 라인야후 사태의 영향권에 놓여 있다. 네이버의 자회사 스노우가 최근 실적 개선을 위해 제페토를 운영 중인 네이버제트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일본 측 지분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3월 네이버는 자회사 스노우가 네이버제트의 지분 3만 559주를 Z인터미디어트와 라인플러스에 928억 원 규모로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네이버 측(네이버웹툰·스노우)의 지분은 기존 78.9%에서 49.9%로 낮아졌다. 현재 Z인터미디어트(18.8%)와 소프트뱅크비전펀드(15.1%) 등이 네이버제트의 지분을 들고 있어 만약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이 이뤄질 경우 지배력을 상실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제페토 역시 일본 내 이용자 확대와 경영권 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한국 정부의 강력 대응으로 라인야후 사태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일본 내에서 네이버의 입지가 갈수록 좁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IT 업계에서는 라인야후 사태가 발생한 배경으로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일본 정부가 플랫폼·데이터 주권을 강화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분석한다. 개인정보 유출을 명목으로 소프트뱅크를 통해 AI 등 IT 산업 육성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것이다. 실제로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총 10조 엔(약 88조 원)을 들여 AI 전용 반도체 개발 등 사업 확장을 준비 중이다. 일본 경제산업성도 이와 같은 구상에 발맞춰 소프트뱅크가 AI 개발을 위한 슈퍼컴퓨터를 정비하는 데 최대 421억 엔(약 3700억 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AI 시대를 맞아 플랫폼이 더욱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라인야후에 대한 일본 기업의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중장기적 비즈니스 관점에서 지분 매각 등 여러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 네이버가 해외 사업의 경쟁력을 훼손하지 않는 묘수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양지혜 기자 hoj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