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 서울 정상회의, AI 안전성 넘어 혁신·포용의 비전 제시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외교부, 21, 22일 AI 서울 정상회의 개최
21일 정상회의는 '안전·혁신·포용' 목표 제시
22일 장관회의서 각국 AI 안전 연구소 공조 등 논의
한국일보

AI 서울 정상회의 로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 22일 열리는 'AI(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가 2023년 AI 안전성 정상회의를 넘어 혁신과 포용으로 의제 범위를 넓힐 것이라고 1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외교부가 함께 준비하는 AI 서울 정상회의는 첫날(21일) 저녁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정상 세션과 둘째 날(22일)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리는 장관 세션으로 구성된다.

이 중 정상 세션은 한국과 영국 두 나라 정상이 회의를 공동 주재하고 주요국 정상과 국제기구 수장, 빅테크(거대 기술기업) 대표들이 참석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지난해 영국에서 개최된 'AI 안전성 정상회의'가 AI 위기 대응에 집중했다면,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는 AI 거버넌스 목표를 안전에 국한하지 않고 혁신·포용으로 확대해 국제사회에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뒤이어 열리는 장관 세션은 정상 세션에서 다루는 의제를 두 갈래로 나눠 구체화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미셸 도넬란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이 공동 의장을 맡고 19개국 정부와 산업계, 학계, 시민사회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 ①AI 안전성 확립 역량 강화 ②지속가능한 AI 발전 촉진을 주제로 논의를 진행한다.

첫 번째 주제인 'AI 안전성'에 관해서는 주요국의 'AI 안전 연구소' 설립 현황을 공유하고 연구소 간 공조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가까운 미래의 AI 위험 요인을 진단하고 안전성 강화 방안을 찾는다. 두 번째 주제인 '지속가능한 AI 발전'에선 에너지 과소비와 환경 파괴, 기술 불평등 등 AI 발전으로 인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작용을 극복하는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한국 정부는 특히 저전력 반도체 등 AI 반도체 비전을 중심으로 새 의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22일 정상회의와 병행한 행사로 열리는 'AI 글로벌 포럼'에는 각국 고위급 인사와 업계·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AI의 국제 거버넌스에 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오전의 고위급 라운드테이블과 오후의 전문가 세션으로 나뉘어 개최되며 전문가 세션은 유튜브로도 생중계된다.

AI 정상회의는 현재 유엔과 주요 7개국(G7), 미중 등 다양한 층위로 진행되고 있는 AI 관련 국제 질서를 수립하기 위한 시도 중 하나다. 정부는 AI 정상회의를 통해 한국이 원하는 협력 의제를 관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 정책실장은 "이번 정상회의는 그동안 뉴욕 구상, 파리 이니셔티브, 디지털 권리장전 등을 통해 펼쳐 왔던 우리의 AI·디지털 비전을 글로벌 거버넌스 규범으로 정립한다는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