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당권주자 몸풀고 있지만 … 또 한동훈만 바라보는 與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당 당권주자들이 이르면 오는 7월에 개최될 전당대회를 앞두고 정치적 보폭을 빠르게 넓히고 있다.

비윤석열계(비윤계)로 분류되는 나경원 당선인·안철수 의원은 정책 현안에 목소리를 내는 한편 수도권 낙선인들과 연쇄 접촉을 시작했다. 한때 친윤석열계(친윤계)였으나 총선 후 용산과 거리를 두고 있는 윤상현 의원도 릴레이 토론회로 '보수 개혁'을 띄우고 있다.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였으나 총선 공천에서 사실상 배제됐던 유승민 전 의원도 '몸풀기'에 나섰다. 물론 '폭풍의 핵'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출마 여부다.

이들 '빅5' 가운데 가장 먼저 레이스를 시작한 후보는 윤 의원이다. 17일 윤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더불어민주당은 수도권 싸움에서 매번 이겼는데, 그 배경에는 당지도부와 원내지도부를 모두 수도권 출신 의원으로 꾸린 전략적 선택이 있었다"고 했다. 수도권 민심에 호소할 수 있는 지도부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자신이 수도권 당선인이라는 점을 부각시킨 것이다.

나 당선인과 안 의원도 활동 반경을 넓히는 중이다. 이들은 당선인·낙선인과 두루 접촉하며 세 모으기를 시작했다는 평가다.

대통령실과 거리를 두면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당내 비주류를 대표하게 된 두 사람은 일제히 정책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나 당선인은 전날 저출산과 연금개혁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추경호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모였다.

안 의원은 의대 증원 문제, 라인야후 사태 등에 꾸준히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다만 안 의원은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출마는) 전혀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말씀드리는 게 정확한 표현"이라며 "(전당대회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이라도 나와야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현재는 의료대란 문제, 라인야후 사태에 집중해 해결 방법을 찾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원외 인사인 유 전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유 전 의원은 최근 지지자들과 팬미팅을 개최하고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지난 9일에는 연세대에서 리더십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앞서 유 전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차기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 "굉장히 깊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전 의원과 가까운 한 의원은 "당이 망해가는 것을 보면서도 아무것도 안 하면 그에 대한 책임도 져야 되는 문제가 있다"며 "(유 전 의원이) 지금 전대에 나가면 상처밖에 안 나겠지만 그래도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차기 전당대회의 최대 관심사는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여부다. 한 전 위원장은 도서관 등에 나타나 시민들의 '목격담'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만남을 거절한 뒤 '거리두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당내 인사들과는 물밑 접촉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재명 대표 일극체제로 변모한 민주당에 맞서려면 한 전 위원장이 적임이라는 주장과 총선 책임론이 맞서는 형국이다. 동시에 한 전 위원장 입장에서 실익이 크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있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한 전 위원장이 이번에 나온다면 자신의 정치적 방향성, 혁신에 대한 의지를 뚜렷이 해야 하고 윤 대통령과 차별화에 성공해야 한다"며 "이에 실패하고 한 전 위원장의 밑천이 1년 내에 드러난다면 본인이 표현한 그대로 '소진'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일각에선 홍준표 대구시장이 연일 한 전 위원장을 공격하는 배경도 '빨리 링 위에 올라오라'고 자극하려는 정치적 의도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의 총선 책임론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이날 정영환 공천관리위원장은 총선백서특위 회의에서 "한 전 위원장이 엄청나게 기여했다"면서 "현명한 주권자 국민이 22대 총선에서 6석을 더 주셨다"고 말했다.

대표가 되더라도 대선 출마 시 임기가 줄어든다는 점은 부담이다. 당헌·당규상 당대표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1년6개월 전에 물러나야 한다. 한 전 위원장이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선 내년 9월에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의미다. 이 경우 2026년 지방선거 공천에도 관여할 수 없게 된다.

현재 대표 선거인단이 당원 100%인 규정을 바꾸는 문제와 함께 지도체제 전환 여부가 이번 전당대회에서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전 위원장은 당원 비중이 높을수록, 유 전 의원은 일반 국민 비중이 높을수록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잠재적 당권주자 가운데 안 의원과 윤 의원은 당원 50%·국민 50%를 선호하고 있다. 나 당선인은 개정은 하되 당원 비중을 80%가량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신유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