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전북행사’ 5·18 첫 희생자 고(故) 이세종 열사 추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 “오월 정신 이어받아 민주주의 지켜나갈 것” 다짐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첫 민간인 희생자로 공식 인정된 고(故) 이세종 열사의 넋이 잠든 전북대학교에서 17일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전북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국주영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장, 서거석 전북특별자치도 교육감, 김윤덕 국회의원, 정동영 국회의원 당선인, 우범기 전주시장, 시민단체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서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한 5·18 민주 영령을 기리고, 숭고한 오월의 정신을 이어받아 민주적이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데 헌신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올해 행사는 ‘모두의 오월, 하나의 오월’이라는 주제로 기념식과 추모식에 이어, 문화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으로 민주화를 이뤄내기 위해 헌신한 시민들의 숭고한 뜻과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서 ‘5·18민주화운동 당시 사망사건 조사결과 보고서’에 1980년 5월 18일 계엄군에 의한 최초 희생자로 전북대 고(故) 이세종 열사를 공식 인정한 해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이로써 이세종 열사는 1980년 5월 18일 새벽, 계엄군의 살인적인 폭력에 전북대학교 제1학생회관 옥상에서 내던져 희생당한 지 44년 만에 5·18민주화운동 첫 사망자로 기록되게 됐다.

김관영 도지사는 “올해는 전북대 고(故) 이세종 열사가 5.18 민주화운동 최초 희생자임이 인정된 의미 있는 해”라며 “전북이 민주화운동 한가운데 자리했음을 44년 만에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5·18민주화운동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며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한 선열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다”면서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희생한 오월의 정신을 이어받아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를 구현해 나가는데 전북특별자치도가 늘 함께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서면 기념사를 통해 “이세종 열사는 5·18 민주화운동기간 첫 사망자로 군부독재의 군홧발에 짓밟힌 스물한 살 청년이 ‘국가폭력의 희생자’임을 인정받기까지 무려 44년이라는 통한의 세월이 필요했다”며 “이세종 열사와 민주영령들이 흘린 피를 따라, 수많은 시민이 ‘폭력보다 강한 연대의 힘’으로 마침내 민주주의의 새 길을 열어젖혔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 대표는 “역사의 법정에 시효란 없고, 온전한 진상규명만큼 완전한 치유는 없다”며 “민주당은 1980년 5월의 진상을 낱낱이 밝히는 데 앞장서고, 국가폭력 범죄는 반드시 단죄 받는다는 상식과 원칙을 바로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5ㆍ18민주화운동 제44주년을 맞아 전북에서는 기념식과 추모식, 학술제, 민주묘지 참배, 전시회, 영화제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전주=박용주 기자 yzzpark@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