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민간 소비 0.8% 증가에…정부, 올해 처음 “내수 회복 조짐” 진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2024년 5월 최근 경제동향은 - 기획재정부 김귀범 경제분석과장이 1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5월 최근 경제동향을 설명하고 있다. 2024.5.17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최근 우리 경기에 대해 내수 회복 조짐을 언급하며 조심스럽게 우상향 기대감을 내비쳤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살아난 데 이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그간 부진했던 내수가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다. 다만 내수 회복에 대해선 기관마다 분석이 엇갈리면서 실제 경기 회복 체감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에서 “제조업·수출 호조세에 방한 관광객 증가와 서비스업 개선 등 내수 회복 조짐이 가세하고 있다”며 “경기 회복 흐름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기재부는 지난달 발표한 그린북 4월호에서 “재화 소비 둔화와 건설 선행지표 부진 등 경제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는 모습”이라며 내수 회복세가 더디다고 표현했지만 관련 지표가 개선되면서 점차 현재 경기를 진단하는 표현이 긍정적으로 나아가는 모습이다.

특히 우려했던 1분기 소비가 우려했던 수준보다 크게 오르면서 회복 흐름을 타는 게 아니냔 기대감이 나온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민간소비는 전 분기 대비 0.8% 증가했다. 민간소비는 지난해 1분기에 0.6% 증가했다가 2분기에 0.1% 감소한 뒤 3분기 0.3%, 4분기 0.2% 증가해 더딘 회복세를 보였다. 상품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지난 3월 전월대비 1.6% 증가했다. 4월 역시 카드 승인액이 늘고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늘어난 점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숙박·음식이 4.4%, 여가에서 1.7%가 감소하는 등 서비스업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3월 서비스업 생산은 0.8% 감소했다. 김귀범 경제분석과장은 “서비스업은 월별 변동성이 있으나 분기별 흐름을 보면 지난해 2분기부터 개선되고 있다”면서도 “본격적으로 소비와 내수가 좋아지려면 시간이 조금은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1분기 설비투자도 0.8% 줄어들면서 내수를 끌어내렸다. 3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기계류는 7.8%, 운송장비는 2.9% 각각 투자가 감소했다. 전체 설비투자지수는 전월 대비 6.6% 감소했다. 기재부는 “국내 기계 수주의 감소와 제조업의 평균가동률 하락이 향후 설비투자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4월 수출은 13.8% 증가해 7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며 ‘청신호’를 보이고 있다. 우려했던 건설투자도 1분기에 2.7% 증가했다.

수출이 견조하게 전체 경기를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내수 훈풍’이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국책연구기관은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전날 “수출 확대에서 기인한 경기 회복세가 내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내수 부진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세종 곽소영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