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정기선의 HD현대, 그룹시총 6위로 껑충…포스코 맹추격 [투자3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마린솔루션 상장에 조선·전력주 급등

신용등급도 상향 추세

헤럴드경제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HD현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자산총액 기준 재계 서열 8위에 등극한 HD현대가 주식시장에서도 그룹 시가총액이 급증하며 연초 이후 시총 순위가 4계단이나 뛰어올랐다.

18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HD현대의 그룹사 시총은 연초 33조3000억원대에서 50% 넘게 증가하며 지난 16일 기준 51조9305억원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HD현대의 그룹사 시총 순위는 연초 6∼9위였던 에코프로, 카카오, 셀트리온, 네이버 등을 제치고 6위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 삼성, SK, LG, 현대자동차에 이어 그룹사 시총 5위인 포스코와의 시총 격차는 약 10조원 정도다.

정유, 조선, 건설기계, 전력기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HD현대그룹의 상장 계열사로는 조선·해양 부문에 속하는 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에너지솔루션·HD현대미포, 변압기 등 전력설비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HD현대일렉트릭, 건설기계 부문으로 분류되는 HD현대건설기계·HD현대인프라코어, 선박 사후관리 기업 HD현대마린솔루션 등 9개사가 있다.

HD현대그룹 상장 계열사들의 합산 시총이 급증한 배경으로는 우선 이달 초 HD현대마린솔루션의 신규 상장이 꼽힌다.

공모액 7000억원, 시총 3조7000억원으로 유가증권시장에 입성한 HD현대마린솔루션은 2022년 LG에너지솔루션 이후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꼽혔다.

상장 첫날부터 주가가 공모가(8만3400원)의 약 2배로 급등한 데 이어 한때 20만원 위로 치솟으면서 단숨에 그룹사 시총에 약 9조원을 더했다.

또 다른 일등공신은 HD현대일렉트릭이다. 전력 인프라 업황 회복에 더해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센터 등 미국 전기 수요 증가에 따른 호황을 맞아 연초 이후 주가가 212% 폭등하면서 시총도 3배로 뛰었다.

이 밖에도 최근 조선주 급등세를 타고 HD한국조선해양 주가도 연초 대비 13.5% 상승해 시총이 1조원 가량 증가했다.

고부가가치 선박 대량 발주와 더불어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이 조선업으로 옮겨붙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한국 조선사들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렸다.

HD현대그룹은 신규 선박 수주에 따른 계약자산 증가로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에서 GS를 제치고 재계 서열 9위에서 8위로 올라서기도 했다.

그룹 계열사들의 신용도도 잇달아 상향 조정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3월 HD현대일렉트릭의 신용등급 전망을 'A-/안정적'에서 'A-/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지난해 12월에는 HD현대중공업[329180](A-→A)과 HD현대삼호(BBB+→A-), 지주사 HD현대(A→A+)의 신용등급을 올렸다.

비슷한 시기 HD현대인프라코어와 HD현대건설기계는 한국신용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기존 신용등급 'A-'보다 한 단계 높은 'A' 등급을 부여받았다.

김현준 한신평 수석연구원은 "2022년 이후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에도 불구하고 HD현대그룹은 최근 신용도 측면에서 가장 개선된 그룹"이라며 주력인 조선 부문 실적 개선세가 지속되고 건설기계·전력기기 이익창출력도 제고되면서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성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i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