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제 22대 총선

與 총선백서 논란 속 조정훈 "윤석열, 한동훈 책임은 당연한 것"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총선 참패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국민의힘 ‘총선백서’ 작업을 두고 당내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조정훈 총선백서특위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둘 다 책임 있다”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17일 CBS라디오에 나와 “한동훈 위원장이 본인이 책임이 있다고 인정을 했기 때문에 비대위원장에서 그 다음 날 사퇴한 것 아닌가. 대통령도 ‘책임 있음을 실감한다’, 그래서 기자회견도 바꾸겠다 하신 것 아닌가”라며 윤 대통령과 한 전 위원장의 총선 패배 책임은 “기본이자 팩트”라고 말했다.

세계일보

국민의힘 조정훈 총선 백서 특별위원회 위원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위원장은 “(패배 책임은) 국민의힘 구성원 모두에게 있고 권한이 크면 클수록 책임도 더 많다는 것은 상식”이라며 낮은 국정운영 지지율을 관리할 전략 기능 개선 등을 통해 향후 선거에서 이기는 정당을 만드는 것이 총선백서의 “핵심 중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조 위원장은 다만 “여기서 ‘누가 51(의 책임)이고 누가 49냐’, 이건 불가능한 수학”이라며 “이거 할 의도도 없고, 그렇게 되면 공격의 영역”이라고 덧붙였다. 누구에게 총선 패배 책임이 더 크고 작은지를 따지는 형식의 백서 작업은 하지 않겠다는 취지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백서의 “주어를 당으로 하라”면서 특정 인물의 책임을 추궁하는 형식은 배제했으면 한다고 말한 데 대해서는 “(특정인을) 공격할 의지는 없지만 우리가 왜 졌는지에 대해서는 아플 정도로 구체적이어야 된다. 그래야 다음이 있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대위원장. 공동취재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장동혁 전 사무총장 등 공천·선거 과정에서 주요 역할을 했던 인사들과의 면담이 마무리되면 한 전 위원장과도 만나보려 한다고 조 위원장은 밝혔다. 그는 “5월 말, 6월 초 정도가 되지 않을까 예상하는데 본인의 스케줄도 있으실 거고 최대한 정중히 면담을 신청하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도 “필요하면 뵙고 싶다”면서 “왜 그때 그런 일, 특히 의대 (정원 증원) 이슈를 총선 전에 왜 들고 나오셨는지 진짜 한번 질문해 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총선백서가 ‘한동훈 책임론’을 부각해 한 전 위원장의 향후 정치 진로를 제약하는 것 아니냐는 시선이 많다. 특히 한 전 위원장의 주요 선거 전략이었던 ‘이(재명)·조(국) 심판론’과 ‘한동훈 원톱 선거체제’의 실효성을 묻는 질문이 백서 설문조사에 포함돼 한 전 위원장 지지자들이 거세게 반발한 바 있다. 조 위원장은 이런 비난이 “생각보다 아프고 따갑다”면서도 “딱 한 가지, 다시는 지고 싶지 않다”는 이유에서 백서 발간 책임을 맡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전 위원장을 향해 “정말 당을 위해서 희생할 의지가 있으면 당대표 출마해서 백가쟁명식으로 당의 개혁에 대해서 토론하는 장을 만들어 보자”며 “지금으로선 확실한 흥행 카드 아닌가”라고 말했다.

세계일보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조정훈 총선 백서 특별위원장.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백서특위는 17일 정영환 전 공관위원장을 불러 총선 평가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그러나 당내에는 여전히 백서 발간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많다.

신지호 전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에서 “백서 작업은 이미 이쯤에서 중단해야 된다”며 “이제 백서 발간의 의도라든가 그런 데서 정당성을 이미 상실했다”고 주장했다.

신 전 의원은 “사실 이철규 의원이 조정훈 의원을 백서 TF 팀장으로 천거를 한 걸로 당내에서는 다들 알고 있다”며 “사실상 한동훈 재등판을 막기 위한 백서 발간”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조정훈 의원 본인도 전대 출마 의사가 있는 걸로 밝혀지는데 백서 발간 책임자를 한다는 것은 정치적 도의에도 안 맞고 상식에 반하는 행동”이라며 백서의 정당성·소구력이 상실됐다고 평가했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