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尹, 손 잡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여야 대표도 나란히 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년 연속 5·18 기념식 참석…올해 유가족·후손과 입장

'이팝나무 꽃' 언급하며 44년 전 5월 광주 회상도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유가족과 입장하고 있다. 2024.5.18/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유가족과 함께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입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 국립5·18민주묘지 입구에서 5·18 유공자 후손들과 함께 유가족을 태운 버스를 기다렸다.

유가족이 도착하자 윤 대통령이 직접 영접했고 '민주의 문'으로 동반 입장했다.

검은 넥타이에 검은색 정장을 입은 윤 대통령은 양쪽으로 유가족과 유공자 후손의 손을 각각 잡고 발걸음을 옮겼다. 유가족들은 소복에 검은색 긴 천을 목에 둘렀다.

대통령실은 5·18 정신이 대를 이어 계승된다는 의미에서 유공자 후손과 함께 입장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5·18 당시 가족을 잃은 '오월의 어머니' 15명과 들어왔었다.

윤 대통령은 동반 입장한 유가족 등과 추모탑 앞으로 나가 헌화와 분향도 함께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제44주년 기념식에서 5·18 유가족들과 자리에 앉아 있다. (공동취재) 2024.5.18/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행사에서는 이팝나무 꽃이 44년 전 '오월의 정신'을 상기시키는 매개체로 역할을 했다.

행사장 전면 추모탑 뒤에는 이팝나무가 하얀 꽃을 피우고 있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올해도 5월 광주 거리에는 이팝나무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며 "44년 전 5월 광주시민과 학생들이 금남로와 도처에서 나눠 먹었던 주먹밥을 닮은 새하얀 이탑나무 꽃"이라고 했다.

기념공연에서는 학생 19명이 입장해 윤 대통령과 유가족에게 이팝나무로 만든 꽃다발인 '오월의 꽃'을 전달했다.

헌시를 낭독한 배우 서태화 씨는 "우리들이 기다리는 봄이 오면 우리 가슴 속에서 당신은 꽃으로 걸어 나와 우리랑 저기 저 피는 꽃들이랑 봄빛 돌아오는 저기 저 남산에 꽃산 이루겠지요"라고 했다.

광주시립합창단과 광주시립청소년소녀합창단이 기념공연으로 '함께'를 부를 때는 일부 유가족이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3년 연속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지난 두 차례 참석 때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윤 대통령은 좌우의 유가족과 손을 잡고 앞뒤로 흔들며 노래를 불렀다. 지난해에는 주먹을 쥔 오른손을 흔들며 제창을 한 바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제44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5.18/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나란히 서서 서로 손을 잡고 흔들며 노래를 불렀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와 황운하 원내대표 등 조국혁신당 참석자들은 주먹을 쥔 오른손을 흔들며 부르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두 손을 앞에 모으고 노래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방명록에 '우리의 자유와 번영, 미래를 이끄는 오월 정신'이라고 적었다.

한편 윤 대통령이 기념사를 할 때 광주시의회 5·18특위 위원 8명이 '5·18 헌법전문수록'이 적힌 소형 현수막을 들고 무언 피켓 시위를 벌이는 일이 있었다. 이에 뒤쪽 참석자 사이에선 "앉으라"면서 항의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뉴스1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18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의 기념사 도중 광주시의회 5.18특위 위원 8명이 '5.18 헌번전문수록'이 적힌 소형 현수막을 들고 기습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2024.5.18/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