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요즘 신입 월급은 60만원” 아나운서 어떻게 하라고…‘아연실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인공지능(AI) 아나운서 (빛나는제주TV-제주특별자치도 공식 유튜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박영훈 기자] “월 60만원만 주면 된다?”

이러다 아나운서 일자리까지 빼앗길지도 모른다. 제주도가 인공지능(AI) 아나운서(이름 제이나)를 실제 도입하면서 시끌벅적이다.

“이젠 두렵다”는 반응이 나온다. AI 시대 일자리 위협이 현실화 됐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제이나를 만들어 제공한 업체에 월 60만원의 사용료를 주고 있다. AI 아나운서의 월급인 셈이다.

제주도는 영상뉴스 진행 아나운서를 물색했지만 비용과 전문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AI 아나운서를 활용해 시간과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비용을 절감하며 영상 뉴스를 제작하게 됐다고 제주도측은 설명했다.

헤럴드경제

인공지능(AI) 아나운서 (빛나는제주TV-제주특별자치도 공식 유튜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 애널리스트’의 등장에 여의도 증권가도 술렁이고 있다. 최근 국내 한 증권사가 인간 애널리스트 대신 ‘AI(인공지능) 애널리스트’에 분석을 맡겨 기업 실적 분석 리포트를 낸 게 화제다.

우선 속도에 놀랐다. 실적 발표 후 자료를 수집하고 도표화 등에 5시간쯤 걸리던 리포트 작성 시간이 15분으로 단축됐다. 전문가들이 내놓은 리포트와 별차이가 없다.

업계에선 “AI를 활용하면 분석 종목 확대와 업무 효율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 시각과 “애널리스트의 일자리가 위협받을 것”이란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은 “5년안에 AI가 인간과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명령어만 넣으면 원하는 영상을 ‘뚝딱’ 만드는 AI ‘소라(Sora)’ [영상, 오픈AI]


최근 오픈AI가 명령어만 넣으면 원하는 영상을 ‘뚝딱’ 만드는 AI ‘소라(Sora)’을 내놓면서 영상업계 종사자들은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AI에게 일자리를 빼앗길 거란 위기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사람의 작업으로 몇주는 걸려야 할 영상이 순식간에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영화나 게임 한편을 뚝딱 만드는 것이 가능해 영화, 게임 등 영상 관련 산업 전체를 뒤흔들 것”이라고 말했다.

AI 가상인간이 일자리까지 위협하고 있다. AI 가상인간의 역습으로 올해 들어서만 전세계적으로 3만여 명의 사람들이 직장을 잃었고, 특히 고학력, 고임금인 '화이트칼라' 일자리에 경고음이 켜졌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35년까지 기존 일자리 3억 개가 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갈수록 발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지적하며 AI가 전 세계적으로 사람의 일자리를 위협한다고 예상했다.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AI가 세계 노동 시장을 “지진해일(쓰나미)처럼 덮칠 것”이라며 “향후 2년 내 선진국 일자리의 60%, 전 세계 일자리의 40%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par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