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尹 부부, 사리반환 기념식 참석 "불교계·국민 모두에 큰 경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 대통령·김건희 여사, 회암사 행사 참석
김건희 여사 역할로 사리반환 탄력
尹 "모셔진 사리, 소중한 국가 유산"
김 여사도 "불교계 숙원 해결에 힘 보태 영광"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9일 양주 회암사지 특설무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사진=뉴시스화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9일 100년만에 국내로 반환된 사리를 기념하는 행사에 참석해 불교계의 경사를 축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 양주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참석해 축사에서 "오늘은 불교계와 국민 모두에게 큰 경사"라면서 100년 가까이 이역만리 타국에 머물렀던 3여래와 2조사의 사리가 마침내 고국으로 돌아온 것에 대해 기쁨을 표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에 돌아와 모셔진 사리는 한국 불교의 정통성과 법맥을 상징하는 소중한 국가 유산"이라면서 이번 사리 반환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달 16일 미국 보스턴미술관으로부터 가섭불, 정광불, 석가불, 나옹선사, 지공선사(3여래 2조사)의 사리가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와 환지본처(還至本處. 본래 자리로 돌아옴)되는 것을 기념하는 행사다.

이번에 돌아온 사리는 본래 양주 회암사의 지공선사 사리탑에 모셔져 있다가 일제강점기에 불법 반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리가 공개되는 것은 고려 후기 사리탑 봉안 이후 600년 만에 최초다.

사리를 반환하기 위한 보스턴미술관과의 논의는 지난 2009년 시작됐으나 난항을 겪다가 지난해 4월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당시 보스턴미술관을 방문한 김건희 여사가 반환을 위한 논의를 제안하면서 다시 탄력을 받았다.

실제 2013년 사리구 반환 협상이 최종 결렬됐으나 지난해 4월 윤 대통령의 미국 순방 당시 김 여사의 제안을 계기로 10년 만에 반환 논의 재개가 이뤄져 환지본처가 이뤄졌다.

이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지난 15일 부처님오신날 봉축 법요식 전 윤 대통령과 사전환담에서 "보스턴미술관이 소장한 사리 환지본처는 영부인께서 보스턴미술관을 찾은 자리에서 반환 논의의 재개를 적극 요청하는 등 큰 역할을 해 주셔서 모셔올 수 있었다"면서 감사인사를 전한 바 있다.

윤 대통령 내외가 이날 행사에 참석한 것도 불교계가 김 여사의 공로에 감사를 전하면서 참석을 간곡히 당부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오랫동안 풀지 못한 어려운 문제였지만, 한미관계가 더 가까워지면서 문제를 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국정 운영에 있어 국민을 위한 간절한 마음으로 노력하고 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건희 여사도 "우리 불교계의 숙원을 해결하는데 작으나마 힘을 보탤 수 있어서 영광"이라면서 "이번 환지본처는 제가 아니라 천만 불자들의 염원이 이룬 결과라 생각한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