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여행자보험 부활' 코로나19 전으로 회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달라진 소비자 수요 살펴야"

이투데이

분기별 여행자보험 신계약 건수 그래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완전히 끝나면서 여행자보험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현지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을 즉각적으로 보장해주는 소비자 친화적 여행자 보험이 특히 인기다. 이 같은 소비자의 수요 변화를 잘 살펴 상품에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여행 시장과 여행자보험 수요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여행자보험 계약 건수(221만 건)와 원수보험료(1563억 원)는 2019년(276만 건, 1455억 원)의 80.3%와 107.4%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여행자보험 시장이 여행자 수 증가와 함께 빠르게 회복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는 모습이다.

보험연구원은 "해외여행자보험 가입이 2022년부터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해외여행자 수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면, 해외여행자보험 시장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해외여행자 수는 2019년의 79.1%에 그치고 있지만, 해외여행자보험 원수보험료는 2019년의 108.7%로 증가했다. 보험연구원은 이를 해외여행자의 여행자보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해석했다. 보험료는 시장 규모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해외여행객 증가에 비해 원수보험료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여행자보험에 대한 수요 증가가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담보별 가입 증가율을 살펴보면, 2022년 해외여행자보험 가입자의 휴대품 손해 담보 가입에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2019년 대비 기본계약(사망 및 후유장해) 평균 가입 금액은 13.9% 늘었다. 이밖에 △배상책임 25.9% △특별비용 60.5% △해외 의료비는 35.3%씩 증가했다.

전형적인 보장 외에도, 해외에서 발생하는 법률비용을 보장하는 등 내용도 다양해지고 있다. 보험연구원은 "의료 응급상황처럼 여행 중 해외에서 발생했을 때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한 위험에 대한 보장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이러한 위험 보장에 대한 관심 증가와 수요 변화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관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해외여행자보험 시장의 변화는 보험 수요 증가뿐만 아니라, 여행자들의 보장에 대한 선호도 변화와 소비자 친화적인 상품 수요 증가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며 "보험사들은 이러한 수요 변화를 상품개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접근성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했다. 보험연구원은 "한 디지털 보험사는 디지털 플랫폼에서 해외여행자보험을 판매해 접근성을 높이면서, 가입 조건·보험금 청구 여부에 따라 보험료를 할인하거나 보험료를 환급해 주는 혜택을 제공해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접근성이 좋고 다양한 혜택이 제공되는 소비자 친화적인 보험상품이 이목을 끌고 있다"고 했다.

[이투데이/김재은 기자 (dove@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