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꿀벌 먹거리 만들자"…산림청, 전국에 여의도 면적 13배 밀원숲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후변화와 산림 면적 감소 등으로 꿀벌의 밥줄인 ‘밀원(蜜源)’이 줄어들면서 먹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반면 양봉 가구는 지속해서 늘어, 경영이 악화하는 상황이다.

중앙일보

서울대 연구팀이 꿀벌에 마이크로집 붙이고 활동데이터 수집해 최근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에 관해 어떤 원인이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 산림청 등에 따르면 양봉 가구는 2011년 1만9987가구에서 지난해 2만6427가구로 32%가량 증가했다. 봉군(蜂群·벌떼) 수는 2011년 153만1609개에서 지난해는 254만3965로 크게 늘었다. 봉군 밀도로 보면 우리나라는 ㎢당 18.5봉군으로 세계 1위다. 평년 꿀 생산량(1억4000t)과 생산성(13.7㎏/봉군)을 고려한 적정 봉군 수는 약 102만개라고 한다.



양봉 농가 32% 증가…봉군 밀도 세계 1위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 남부와 중부지방에서 꿀벌의 생육과 밀접한 수종인 아카시나무의 개화일이 줄어 양봉 농가의 경영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남부지방과 경기·강원 북부지역의 아카시나무 개화일은 2007년 30일에서 2014년 20일로 줄어든 데 이어 2017년에는 절반 수준인 16일로 급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통계를 기준으로 2020년 우리나라 밀원 면적은 14만6000㏊ 정도다. 47만8000㏊에 달했던 1970~1980년대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40년 전 수준의 밀원 면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100년 정도가 걸릴 것이란 연구결과도 있다. 산불과 기후변화 영향으로 매년 줄어드는 산림 면적을 고려하면 더 빨리 많은 밀원 수(樹)를 심어야 한다는 얘기다.

중앙일보

지난 2022년 4월 7일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서 한 양봉업자가 벌통에서 소비 한장을 꺼내 들고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 산림청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양봉산업 육성 및 지원계획’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밀원 수 조림에 나섰다. 전국에 여의도 면적(290㏊)의 13배에 달하는 밀원 숲을 조성한다는 게 산림청의 목표다.



양봉 농가, 국유림에 벌통 설치 가능



우선 국유림의 경우 연간 150㏊ 규모의 밀원 숲을 만들고 개인 소유 산림은 전체 조림 면적의 20%(총 3600㏊)를 밀원 수로 조성할 방침이다. 양봉 농가에서 국유림에 벌통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법(국유림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도 지난 1월 개정했다.

중앙일보

지난 2월 18일 경북 포항시 흥해읍의 야산에서 꿀벌 한마리가 매화꿀을 따기 위해 날아들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은 쉬나무와 헛개나무, 광나무, 이나무, 아왜나무, 꽝꽝나무, 피나무 등 단위 면적당 꿀 생산량이 우수한 수종도 개발했다. 이들 나무는 ㏊당 꿀 생산량이 90㎏ 이상으로 아카시나무(38㎏)의 2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인 벌꿀 용기(2.4㎏)를 기준으로 ㏊당 잠재적 꿀 생산량을 보면 아카시나무꿀은 약 16병, 새로 개발한 수종의 꿀은 최소 37병이 나온다는 얘기다.



쉬나무 등 꿀 생산량 좋은 신규 수종 개발



그에 더해 산림청은 밀원단지의 생산성을 높이고 우수한 밀원 수 품종 육성·연구, 꿀벌 보호와 생태계 보전을 위해 관계 기관과 공동 연구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재 한해 3~4개월 정도인 채밀 기간(꿀을 따는 기간)이 2026년에는 7~8개월까지 늘어날 것으로 산림청은 전망하고 있다.

중앙일보

충북도는 지난 3월 28일 괴산군 문광면 도유림에서 밀원숲 조성 운동 선포식을 개최했다. [사진 충북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꿀벌의 먹이인 밀원자원을 확충하는 것은 조림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목재 자원과 임산물로 활용 가능한 밀원 수를 발굴, 양봉산업과 임업인 모두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충북도, 232억원 들여 공유림에 밀원 조성



한편 충북도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232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도내 11개 시·군 공유림 320㏊에 밀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2022년 말 기준 1023곳인 충북지역 전업 양봉농가도 2028년까지 1200곳까지 늘리기로 했다.

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