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깜짝' 성장에 '화들짝' 놀란 한은, "4분기 인하"할 거란 시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총재 '통화정책 재검토' 시사 후
23일 첫 통화정책방향회의 열려
금리인하 가늠자 경제전망도 발표
한국일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일(현지시간) 조지아 트빌리시 풀만호텔에서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3 재무장관회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통화정책 원점 재검토'를 시사한 후 첫 통화정책방향(통방) 회의가 23일 열린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 척도인 물가 및 내수 전망 발표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23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정한다. 같은 날 한은 조사국은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김종화·이수형 금통위원이 합류하는 첫 통방 회의이기도 하다.

기준금리는 연 3.5%로 동결하고, 올해 성장률 전망은 2.1%에서 2%대 중반으로 상향 조정이 유력하다. 기준금리 동결 전망이 나오는 것은 여전한 고물가 때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월 2%대(2.9%)로 떨어졌지만, 1~3월은 평균 3%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은 현재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려 시중 통화량을 줄이는 긴축 정책을 시행 중이다.

성장률은 1분기 1.3%의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기술적으로 상향 조정돼야 하는 상황이다. 한은에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6%, 금융연구원(KIF) 2.5%로 기존 전망에서 0.4%포인트씩 높였다.
한국일보

분기별 GDP 성장률. 그래픽=신동준 기자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시장 관심사인 만큼, 향후 물가와 내수 경기 전망에 대한 관심도 쏠린다. 한은은 그동안 인하 시점을 저울질해 왔다. 최근 두 번의 통방에서 금통위원 6명 중 1명은 내수 위축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3개월 내 1회 인하"를 주장했고,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하반기 금리인하 깜빡이를 켤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 달 사이 중동 분쟁으로 석윳값이 뛰고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터치'하면서 고물가 지속 우려가 커졌다. 내수는 부진할 것이란 전망과 달리 1분기 성장 기여도가 0.7%에 달했다. 통화정책의 원점 재검토가 불가피해진 배경이다. 다만 이후 '내수 부진'을 가리키는 상반된 경제지표들이 발표되면서, 내수 성장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시장은 일단 "늦어도 4분기 인하"를 예상한다. 이달 들어 환율과 국제유가가 안정됐다는 사실에 주목하며, '연간 물가 상승률 전망치가 2월 전망(2.6%) 대비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면 한은이 계획대로 하반기 금리 정상화에 착수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물가도 안정세를 보이면서 '9월 미국, 10월 한국 금리인하' 시나리오도 떠오르고 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내수 부진 흐름과 하반기 수출 성장세 둔화 가능성, 근원 물가 하향 전망 등을 고려 시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여전하다"며 "연말 기준금리 수준은 3%(2회 인하)"라고 예상했다.
연관기사
• 금리인하 안갯속… 이창용 “4월과 ‘세 가지’ 달라졌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316300001237)
• 한은 "하반기 금리인하 깜빡이 켤지 고민"... 관건은 물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1215000005939)
• 내수 부진, 생산 둔화지만… KDI "수출 회복에 경기 부진 완화" 유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1213370001068)
• 내수 '깜짝 성장'에 1분기 GDP 1.3%↑... 지속 여부는 '미지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2513590001356)

윤주영 기자 roza@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