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바이든, 폭발 없는 핵무기 실험했다…푸틴 방중 직전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이 실제 폭발이 일어나지 않는 방식의 핵무기 실험을 단행했다. 2021년 9월 이후 2년 8개월만에 재개된 핵실험으로,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치르고 있는 러시아가 전술핵을 실전에서 사용할 가능성을 제기하는 데 따른 미국의 맞대응 성격이란 분석이 나온다.

중앙일보

지난 1월 22일 러시아 국방부가 공개한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임무 수행 중 로켓을 발사하는 Su-25 전투기. 러시아는 당시 전술 핵무기와 관련된 훈련을 실시할 계획을 밝혔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가핵안보국(NNSA)는 1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14일 오후 네바다주 주요 지하 임계실험실(PULSE)에서 미임계(subcritical)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며 “핵무기에 대한 중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실험의 빈도를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임계 실험은 핵물질이 연쇄반응을 일으켜 폭발하는 임계점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핵물질의 압축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에서 금지한 실제 폭발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 금지 대상은 아닌 것으로 본다.

중앙일보

1950년대 미국 네바다주에서 있었던 핵실험. [사진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1992년 실제 핵폭발 실험을 중단한 이후 이번을 포함해 모두 34번의 미임계 핵실험을 실시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때 4번의 실험이 이뤄졌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도 3차례 미임계 실험이 진행됐다.

바이든 정부 들어 미임계 실험이 이뤄진 건 3번째다. 특히 이번 실험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16~17일 중국 국빈방문 직전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중·러를 향한 경고의 성격이 짙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2월 24일)을 사흘 앞둔 지난해 2월 21일 미국과 맺은 핵무기 통제 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뉴스타트) 참여 중단을 선언하며 미국에 압박을 가했다. 당시 푸틴은 미국의 핵실험이 예고되지 않았음에도 “미국이 새로운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며 “미국이 핵실험을 하면 우리도 똑같이 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중국을 국빈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지난 16일 회담 중 악수를 나누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푸틴은 지난해 11월엔 CTBT의 비준도 철회했다. CTBT는 1996년 9월 24일 유엔 총회에서 승인된 국제 조약으로, 군사적·평화적 목적을 불문하고 대기권·우주·수중·지하 등 모든 영역에서의 모든 핵실험을 금지한다. 러시아는 1996년 CTBT에 서명한 뒤 푸틴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00년 이를 비준했다. 반면 미국, 중국, 이집트, 이스라엘, 이란 등 5개국은 서명 이후 비준은 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비준 철회에 대해 “미국과 똑같은 행동을 하는 것”이라며 “미국이 먼저 (폭발이 유발되는)핵실험을 한다면 러시아도 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NNSA는 “1992년부터 시행한 핵폭발 실험 모라토리엄에 따른 조치이고, CTBT의 제로 수율 표준에도 부합했다”며 이번 실험이 실제 폭발 실험은 아니란 점을 강조했다. 다만 바이든 정부 들어 신형 전술 핵폭탄인 ‘B61-13 핵중력탄’ 개발에 성공했다는 발표가 나왔고, 의회에서도 핵무기 관련 예산이 지속적으로 승인된 이후 핵실험까지 재개되면서 이번 실험이 미·러의 핵경쟁을 가속화하는 촉매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thka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