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오바마 연합’ 재건 나선 바이든…전통 지지층 다잡기에 사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조 바이든 대통령.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월 미국 대선이 6개월도 남지 않은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이 흔들리는 흑인 표심을 잡기 위해 이른바 ‘오바마 연합(Obama Coalition)’ 재건에 나섰다. ‘오바마 연합’은 2008년 민주당 버락 오바마 후보의 대선 승리에 일등공신이 된 흑인과 청년층, 대졸 이상 고학력 백인을 말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6년 대선에서 승리를 안겨준 ‘성난(Angry) 백인’의 재결집으로 지지율에서 앞서자 바이든 대통령은 전통 지지층 다잡기에 사활을 걸었다. 이들이 최근 고물가와 중동전쟁 등으로 집권 민주당과 ‘헤어질 결심’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흘 내내 흑인 달래기 나선 바이든

바이든 대통령은 19일(현지 시간)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모어하우스 칼리지에서 졸업 축하 연설을 한다. 모어하우스 칼리지는 남북전쟁 직후 해방된 흑인 노예 교육을 위해 설립된 흑인 남성 대학이다. 1968년 피살된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이 대학 출신으로 흑인 민권운동의 상징이다. 라파엘 워녹 조지아주 상원의원, 영화감독 스파이크 리와 배우 새뮤얼 잭슨 등을 배출한 흑인 엘리트 대학으로도 꼽힌다.

바이든 대통령은 16일 흑인 라디오 방송 출연을 시작으로 17일에는 워싱턴의 미국 아프리카 아메리칸 국립박물관에서 열린 공립학교 인종분리정책 위헌 판결 70주년 기념연설과 흑인 민권운동의 주축이 된 학생회 연합인 ‘디바인 나인(Divine Nine)’ 대표 만찬을 가졌다. 또 18일에는 애틀란타에서 대선 캠프 행사를 한 뒤, 19일엔 모어하우스 칼리지 졸업식을 거쳐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흑인단체 만찬 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행사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비판하며 흑인 유권자의 결집을 호소했다. 18일 대선 캠프 행사에선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두 번째 임기에서 가할 위협은 1기 때에 비해 더 거대할 것”며 “조지아주가 내가 (2020년 대선에서) 대통령이 된 이유이며, 내가 올해 전직 대통령(트럼프)에게 다시 승리할 이유”라고 강조했다.

조지아주는 보수 성향이 강한 남부주에 속한다. 2016년 대선 때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 지역에서 승리했지만 2020년 대선에선 유권자 중 33%를 차지한 흑인들의 몰표를 받은 바이든 대통령이 0.25%포인트 차로 신승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7일 연설에선 “트럼프는 (국민) 전체가 아닌 일부만을 위한 나라를 원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졸업식 연설서 반전 시위 움직임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흑인 표심을 다잡아 민주당의 대선 승리 공식인 ‘오바마 연합’을 재건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지난 대선에서 표를 몰아준 흑인 유권자 가운데 청년층을 중심으로 불만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당초 바이든 대통령이 약속한 공약 상당수를 아직 실현하지 못한 데다 고물가로 체감 경기가 악화되자 등을 돌리고 있다.

실제로 흑인 실업률은 지난해 4월 4.8%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뒤 1년간 약 1%포인트 오르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14일 블룸버그통신 여론조사에선 흑인 유권자 63%가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는 2020년 대선 때 바이든 대통령에게 92% 몰표를 줬던 표심과는 크게 달라진 상황이다.

중동전쟁으로 인한 갈등도 여전하다. 모어하우스 컬리지에선 바이든 행정부의 이스라엘 지원에 반대하는 일부 학생들이 학교 측에 행사 취소를 압박하고 있으며 일부 교수진조차 행사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교내에는 바이든 대통령이 연설할 때 박수를 치지 말고 등을 돌리자는 내용의 전단지가 배포되기도 했다. 데이비드 토머스 총장은 “졸업식을 방해하는 파괴적인 행동이 있으면 그 자리에서 졸업식을 중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졸업을 앞둔 칼렙 체가예는 미 ABC방송에 “바이든의 팔레스타인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나는 단지 졸업하고 싶을 뿐”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