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대구·경북 통합론’ 재점화… 행정체제 개편 신호탄 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준표 시장, 공개 제안

이철우 지사 “TF 만들어 추진”

洪 “국가·기초 2단계 행정체계로

경기도 분도는 시대 역행” 강조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에 대응해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 논의가 재점화할 전망이다.

이번에는 홍준표 대구시장이 통합을 공개적으로 제안했고,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환영의 입장을 밝히면서 대구·경북발 통합 논의가 국가 전체 행정 체제 개편의 신호탄으로 이어질지 관심을 끈다. 앞선 13일 행정안전부도 ‘미래지향적 행정 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출범으로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등 국가적 난제 해결을 위한 행정 체제 개편 논의를 시작했다.

세계일보

홍준표 대구시장(왼쪽)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 대구시에 따르면 홍 시장과 이 지사는 17일 대구에서 열린 ‘22대 국회의원 당선인’ 모임에 참석해 ‘대구·경북 통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홍 시장은 이 자리에서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구직할시’로 통합해야 한다”고 밝혔고, 이 지사는 “당장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어 통합을 추진하겠다”고 화답했다.

민선 8기 들어 대구·경북 통합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민선 7기 당시 권영진 전 대구시장과 이 지사가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추진했지만,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행정통합은 대구와 경북으로 나눠진 두 광역자치단체를 통합해 서울 등 수도권과 직접 경쟁이 가능한 하나의 대형 지자체를 만드는 게 목표다. 민선 8기 출범에 맞춰 대구시가 조직개편안을 내면서 행정통합 등 대구·경북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추진하는 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 사무국을 폐지하면서 사실상 통합 논의를 중단했다.

홍 시장은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시절인 2021년 10월 행정구역 개편 등의 내용을 담은 ‘정치 대개혁’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그는 전국 광역자치단체를 모두 없애고 40여개 지자체로 통폐합해 현행 ‘기초·광역·국가’의 3단계 행정 조직을 ‘기초·국가’ 2단계 조직으로 개편하고 기초·광역 의원도 ‘지방의원’으로 통합할 것을 주장했다. 홍 시장은 지난해 11월에도 지방 주요 도시 통합을 언급하며 “대구·경북을 통합해 ‘대구특별시’로 만들고, 부산·경남을 통합해 ‘부산특별시’로, 광주·전남을 통합해 ‘광주특별시’로 만드는 등 지방 시·도를 통합해 메가시티로 만드는 게 지방화 시대에 바람직하다”고 밝힌 바 있다.

홍 시장은 전날에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행정통합을 공개 제안했다. 그는 “통합 구상은 도(道)를 없애고 광역시와 국가가 바로 연결되는 2단계 행정체계가 되면 기관 통폐합과 행정체계 단순화로 효율성이 극대화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현재 추진하는 경기도 분도는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경기도가 인근 자치단체끼리 통폐합해 2단계 행정체계를 만드는 게 맞지 않을까 한다”고 반문했다.

오래전부터 통합을 주장해 온 이 지사도 올해 내 시·도의회 의결, 내년 상반기 중 행정통합 법안 국회 통과, 2026년 지방선거 때 통합 단체장 선출 등 구체적인 일정을 제시했다. 이 지사는 페이스북을 통해 “수도권 1극 체제로는 저출생, 지방소멸 등을 해결할 수 없기에 충청, 호남, TK(대구·경북), PK(부산·경남) 등 500만명 이상의 시·도 통합을 통해 다극체제로 개편해 지방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