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포위당하면 안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본선 8강전〉 ○ 렌샤오 9단 ● 박정환 9단

중앙일보

장면 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면②=△의 침입은 단순한 흑진의 파괴가 아니고 위쪽 흑 3점에 대한 공격을 내포하고 있다. 이때 등장하는 흑1, 3은 AI가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하는 너무도 친숙한 수법이다. 이 형태는 호구가 탄력적이고 돌이 가벼워 언제든 버릴 수 있다. 백A에는 흑B의 패로 받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이리하여 흑1, 3은 타개의 기본이라 할 정도로 인기 품목이 됐다. 그렇다면 여기서 백의 최선은 무엇일까.

중앙일보

AI의 참고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의 참고도=AI는 이 형태에서 백1의 단수를 가장 유력한 수로 추천해왔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흑2, 4, 6으로 마구 에워싸면 백이 곤란해진다. 얼핏 백도 A로 저항하여 수상전을 벌이면 만만치 않을 것 같다. 그러나 이 싸움은 무조건 흑이 좋다. 흑은 일단 외곽을 둘러싸고 있어 두터움을 얻고 들어간다. 패만 나도 만족이다.

중앙일보

실전 진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전 진행=렌샤오 9단도 백1, 3의 탈출부터 서둘렀다. 흑6을 당하는 게 아프긴 하지만 올바른 판단이었다. 박정환 9단은 귀를 살아둔다. 백7의 도발에는 8로 참아둔다. 종반이 강한 박정환은 여전히 서두르지 않는다. 형세는 50대 50.

박치문 바둑칼럼니스트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