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갈 곳 잃은 투자금 657조 '파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에 ‘뭉칫돈’ 쏠려

인터넷은행 모임통장·파킹통장 인기 여전

시중은행도 특판 파킹통장 내세우며 경쟁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미국의 금리인하 시기 불확실성 확대로 시중 유동성이 한 달 새 65조원 가까이 늘면서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가운데 투자처를 찾지 못한 대기자금은 ‘투자 대기처’로 불리는 수시입출금식통장(파킹통장)에 몰리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모임통장을 비롯한 파킹통장은 저원가성 예금을 확보 채널로 활용되고 있다.

이데일리

(그래픽=문승용 기자)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3월 통화 및 유동성’을 보면 3월 광의통화(M2, 계절조정계열·평균잔액)는 3994조원으로 한 달 전 대비 64조2000억원(1.6%) 늘었다. 1986년 통계 집계이래 최대 규모이자 10개월 연속 증가세다.

상품별로 수시 입출식 저축성예금이 18조 6000억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정기 예·적금 12조 9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 10조 7000억원, 수익증권 9조 2000억원 등으로 증가했다. 실제 최근 은행들의 수시입출식 예금은 투자 대기 자금 유입 등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을 포함한 요구불예금 잔액은 616조 3371억원으로 작년 동기(590조 9803조) 대비 25조 3568억원 증가했다. 다만 전달 대비로는 대형 공모주 투자 수요 영향에 31조 5511억원 줄었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요구불예금은 파킹통장과 모임통장 등 시중은행 대비 높은 금리와 편의성에 힘입어 빠르게 늘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올해 1분기 기준 30조 1000억원으로 3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1분기 22조 9000억원에서 같은 해 2분기 25조원, 3분기 26조원, 4분기 26조 100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한데 이어 올 1분기까지 4조원이 급증했다.

저원가성 예금 증가를 견인한 것은 ‘모임통장’이다. 카카오뱅크의 모임통장 잔액은 지난해 1분기 5조 5000억원에서 올 1분기 7조 3000억원까지 급증했다. 케이뱅크의 흐름도 마찬가지다. 케이뱅크의 올 1분기 총 수신잔액이 23조 9000억원인 가운데 모임통장 등을 포함한 요구불예금 잔액 비중은 60%에 달한다. 모임통장은 금리가 연 0.1%로 시중은행의 수시입출금통장 수준에 그친다. 그러나 모임통장 특유의 편의성 때문에 고객의 충성도는 높다. 인터넷은행 입장에선 예금자에게 줄 이자 비용을 아낄 수 있는 ‘공짜 예금’격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인터넷은행 파킹통장의 금리가 높다 보니 주기적으로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요구불예금은 전체적으로 계절성 요인이나 주가 등에 따라 변동폭은 있지만 대기성 자금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부 시중은행들은 인터넷은행에 대응하기 위해 높은 금리의 파킹통장 특판 상품도 내놓고 있다. Sh수협은행의 ‘Sh매일받는통장’은 최고 3%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입출금통장 첫 거래 고객이 마케팅 동의 등 조건을 충족하면 1000만원 초과~1억원 이하 금액에 6개월간 최고 연 3.0%를 적용한다. 앞서 SC제일은행은 연 3.4% 금리의 파킹통장 상품을 선보인 바 있다.

전북은행의 ‘씨드모아 통장’은 기본금리 연 2.80%에 3개월간 우대금리로 연 0.60%포인트를 추가 제공해 최대 연 3.40%의 금리를 제공한다. 현재 인터넷은행의 파킹통장 금리가 연 2%대인 점을 고려하면 경쟁력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