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우원식 견제구' 맞은 이재명, '강성팬덤' 우려에도 당심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주말 당원 스킨십…당원 의사비중 강화 등 권한 강화 약속

'탈당 만류' 명분 속 지지기반 단속·연임론 힘 실려…체제 강화

뉴시스

[대전=뉴시스] 조성우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9일 오후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원과 함께-민주당이 합니다' 충청편 행사에서 당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오른쪽은 정청래 최고위원. 2024.05.19. xconfind@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조재완 신재현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의장 후보 경선에서 당선인들로부터 견제구를 받았음에도 되레 당심 강화에 나서는 모양새다. 이 대표는 명심(이재명 대표 의중)과 강성 지지층의 지지를 받았던 추미애 당선인이 우원식 의원에게 패배해 리더십에 흠짐이 났다. 하지만 이 대표는 강성 팬덤 우려에도 연일 당원권 강화를 약속하고 있다. 국회의장 선거 결과에 실망한 강성 지지층의 탈당 행렬을 막으려는 행보로 보이지만 '이재명 일극체제'를 우려하는 당선인들의 견제를 무시하는 처사라는 지적도 나온다.

20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 대표는 지난 주말 호남과 충청 당원들을 만나 권리당원 의사 비중을 확대하는 등 당원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대표는 지난 18일 호남 당원들과 만난 자리에선 당원 중심의 대중전환 전환을 거듭 강조하며 차기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 권리당원 의사를 확대 반영하겠다고 예고했다.

현재 대의원과 권리당원 의사 반영 비율은 '1:1(일대일)'인데 시도당별 권리당원 숫자에 차이가 있는 만큼 일부 지역에선 권리당원 의사가 축소 반영되고 있어 현행 룰을 손볼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당 최고위원회의는 이미 이 같은 룰을 고치기 위한 밑작업에 들어갔다.

이 대표는 또 전날 충청 당원들과 만난 자리에선 "당원을 두배로 늘리고 당원 권한도 두배로 늘리자"며 당원정당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원외 지역 전담 조직을 설치하거나 오프라인 당원 활동 공간을 만드는 구체적인 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앞서 '명심(이재명 의중)'으로 여겨졌던 추미애 의원이 국회의장 후보 경선에서 낙선한 데 대해 강성 지지층이 탈당하겠다며 반발하자 이를 달래는 작업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추 의원 낙선으로 당원들이 탈당을 하니 대표가 깜짝 놀랐다"며 "어떻게 하면 당원들이 효능감을 가질 수 있을지 대표가 고민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이 같은 상황이 당내 위기감을 조성해 지지 기반을 공고히하고, 당대표 연임론에 힘을 싣고 있다는 분석도 동시에 나온다. 당원과의 스킨십을 늘리고 이들 권한을 확대해주는 동시에, 내부 분열이란 위기감을 고리로 강성 당원들의 결집을 도모하고 있다는 것이다.

계파색이 옅은 3선 중진 의원은 "이 대표 리더십에 생채기가 났다는 위기감이 개딸(강성 당원)에게 '방심하면 안 된다', '수박(겉과 속이 다른 사람·비이재명계 은어)을 몰아내자'는 위기감으로 이어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봤다.

실제 당원 행사에서 당 지도부는 이 대표 연임을 부추기며 강성 당원들의 결집을 키우는 모양새였다.

전날 행사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이 한 당원이 쓴 메시지를 읽고선 "이 말은 연임과 관련있는 말 같다. (이 대표가) 짐을 내려 놓을까요, 계속 이어서 할까요"라고 묻자 이 대표는 "멋짐"이라며 농으로 받아 쳤지만 당원들은 '연임'을 연호했다. 정 최고위원도 당원들을 향해 "여러분이 외쳐주신 것과 저도 생각이 똑같다"고 말했다.

이어 또 다른 당원이 "연임해달라"고 이 대표에게 요구하자 박정현 최고위원이 "연임하기로 한 것 아니냐"고 말했고, 이 대표는 답변하지 않고 웃어 넘겼다.

☞공감언론 뉴시스 wander@newsis.com, agai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