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금리인하 움직임에 전기차 기대감 솔솔…배터리업계도 훈풍 불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최근 세계 각국이 금리 인하 카드를 만지작거리며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 빠진 전기차 시장의 분위기 반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자율이 줄면 그만큼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 부담을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차 판매가 확대되면 핵심 부품인 배터리나 원소재 등 전기차 가치사슬(밸류체인) 전반에도 훈풍이 불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전기차 주차장에서 충전중인 차량
[연합뉴스 자료사진]



2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럽을 시작으로 금리 인하 기조가 나타나고 있다.

스웨덴 중앙은행은 지난 8일(현지시간) 8년 만에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은 지난 9일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금리 동결을 결정하며 조만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고, 유럽중앙은행(ECB)도 6월 첫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에 앞서 스위스 중앙은행인 스위스국립은행(SNB)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고, 이달 초 체코 중앙은행도 4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연합뉴스

유럽중앙은행(ECB) 본부 건물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통상 소비자들이 수천만원이 넘는 고가의 자동차를 구입할 때 전액 현금보다는 카드사 등에서 제공하는 할부금융서비스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할부 금리에 영향을 주는 기준금리는 자동차 수요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 지표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2018년 미국 신차 판매의 14%를 차지했던 신용등급 620점 미만의 저소득층 구매자 비중은 지난해 6%에 그쳤다. 높아진 할부 이자로 자동차 구매 비중이 줄어든 셈이다.

조나단 스모크 콕스 오토모티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고금리 기조로 자동차 구매가 고소득, 고신용 점수 구매자로 제한됐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가 하반기로 갈수록 확산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업계에서는 그간 고금리에 따른 전기차 구매 부담으로 주춤했던 소비자들의 지갑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연합뉴스

테슬라 모델Y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기차·배터리 업계에서는 전기차 시장 활성화를 위해 금리 인하와 함께 차량 가격 자체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기차 매체 인사이드EV에 따르면 테슬라는 최근 판매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일부 모델의 할부 금리를 대폭 낮추기로 했다. 이에 따라 모델Y 신차 구입시에는 연 0.99%의 할부 금리가 적용된다. 종전에는 6.49%였다.

전기차 제조 가격의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 인하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런 가운데 국내 배터리 업체들도 중저가 배터리 개발과 공급망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월 중국 양극재 생산 업체 상주리원과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장기 공급 계약을 맺는 등 LFP 배터리 사업 확대를 위한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전기차용 LFP 배터리의 경우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SK온은 내부적으로 LFP 배터리 개발을 마치고 지난 3월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기존 제품보다 저온에서 충·방전 용량을 10% 이상 높인 '윈터프로 LFP' 배터리를 공개했다. 고객과 구체적인 협의가 끝나면 2026년께 양산할 계획이다.

삼성SDI도 2026년 LFP 배터리를 양산하는 것이 목표다. 삼성SDI는 부품 개수를 35% 이상 줄이고 무게를 20% 줄여 고에너지밀도와 비용 절감이 가능한 셀투팩(CTP) 기술도 확보했다.

연합뉴스

'인터배터리 2024' 행사에서 SK온 부스 찾은 배터리 업계 대표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는 고금리 영향이 큰 산업"이라며 "글로벌 경기 영향에 따른 전기차 소비 둔화 추세는 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가 확산하고, 업계 노력에 따른 전기차 가격 경쟁력이 갖춰지면 점진적으로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anajja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