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밸류업 먹혔다”…4대 금융지주 外人지분율 역대최고 [투자3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평균 지분율 62.7%

올들어 코스피 1%p 오를 때 금융지주들 3%p↑…KB는 80% 육박

주주환원 강화에 외국인 매수세…밸류업에 관심 더 커져

헤럴드경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최근 4대 금융지주의 외국인 지분율이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초부터 강화된 각 사의 주주환원 정책에 더해 지난 2월 정부가 발표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덕분에 '저평가주'로 지목된 금융지주에 외국인 매수세가 몰린 결과로 분석된다.

20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지난 17일 장 마감 후 외국인 지분율은 평균 62.7%로 집계됐다. 이는 4대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늦게 증시에 입성한 우리금융 상장일(2019년 2월 13일) 당시 평균 58.2% 이후 5년 3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말 평균은 59.6%로, 올해 들어서만 3.1%포인트(p) 높아졌다. 전체 코스피 시장의 외국인 지분율도 지난해 말 18.8%에서 지난 17일 19.8%로 1%p 올랐지만, 금융지주와 비교하면 상승 폭이 작다.

회사별로 보면, KB금융의 외국인 지분율은 지난해 말 72.0%에서 지난 17일 76.8%로 5%p 가까이 늘어 80%대를 목전에 뒀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은 60.2%에서 61.2%로, 하나금융은 68.6%에서 70.1%로, 우리금융은 37.9%에서 42.5%로 일제히 외국인 지분율이 올랐다. 특히 KB금융은 지난 13일 77.0%로, 증시 상장일인 2008년 10월 10일 이후 가장 높은 외국인 지분율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의 경우 17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이 상장 후 최고치다.

금융지주들은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앞다퉈 시행한 결과 외국인 주주들의 매수세가 몰린 것이라고 자체 분석했다.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 수익률 등을 노리고 장기 투자 성향이 강한 외국계 큰 손들이 꾸준히 주주로 진입했다고 보는 것이다.

KB금융 관계자는 "지난해 초에 이어 올해 1분기에 적극적이고 차별화한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고, 이에 시장 반응이 긍정적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익 창출 능력과 자본 관리 능력이 타사 대비 우위에 있는 점은 주주환원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신한금융의 경우 올해 들어 10%가량의 외국인 지분 매도가 이뤄졌지만, 전체 외국인 지분율이 유지되고 있다며 "매도 물량이 무난히 소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어피너티, BNP파리바, EQT(옛 베어링) 등 외국계 자본들이 신한지주 지분을 대량으로 매도했지만, 꾸준한 주주환원 정책 덕분에 오히려 외국인 지분율이 올랐다는 설명이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지난해 초부터 주주환원 증대와 주가 저평가 극복을 위해 노력했다"며 "올해 1월에는 3천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소각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여기에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더해지며, 일본 증시의 성공 사례를 경험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졌다"고 했다.

우리금융 관계자 역시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해온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종금과 포스증권의 합병을 통한 증권업 진출로 우리금융 수익구조 개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i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