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한동훈 등판설로 무게추…"가능성 49%까지 높아져, 이제 1% 남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책 현안으로 침묵 깬 한동훈…당내 출마 가능성 언급 껑충

뉴스1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총선 결과 관련 입장을 밝힌 뒤 당사를 나서고 있다.(공동취재) 2024.4.11/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노선웅 기자 =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설과 관련한 목소리가 늘면서 등판설이 점차 힘을 받는 모양새다.

한 전 위원장이 지난 주말 한 달여간의 침묵을 깨고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힌 만큼 그의 출마 여부를 두고 당 안팎의 백가쟁명식 의견 분출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조해진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한 전 위원장이 지난 주말 정부의 KC 미인증 제품에 대한 규제 조치 철회 결정에 입장을 밝힌 데 대해 "한 전 위원장은 결과적으로 원외에 있지만 정치를 하겠다. 그걸 표현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정부가 대책 없이 불쑥 내놨다가 거두어들인 과정은 실망스러운 건데 결과적으로는 한 전 위원장 주장이 받아들여진 것 아니냐"며 "지난 총선에서 민심을 수용해서 한 전 위원장이 정책 제안했을 때 만약 이번처럼 즉각 대통령실에서 받아들였더라면 정권 심판론으로 안 가고 총선 결과도 좀 더 낫지 않았겠는가"라고 밝혔다.

그는 한 전 위원장의 움직임을 두고 당권 도전을 위한 몸풀기에 나섰다는 해석과 관련해선 "그건 알 수가 없는데 여러 가지 상황상 당을 위해서나 본인을 위해서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의 흐름이 아닌가"라고 답했다.

이어 직전 본인이 한 전 위원장의 당권 도전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데 대해선 "이번 전당대회에서 쇄신과 회생을 주도할 지도부가 만들어지고 그 지도부가 다음 지선과 대선을 또 승리를 이끌어야 되는데 거론되고 있는 분들은 국민들로부터 평가를 받아서 역량이나 비전의 한계를 알고 있는 분들"이라며 "당의 명운이 걸린 전당대회가 제대로 된 쇄신의 전당대회가 되고 국민들이 관심 가지고 당원들이 참여하게 만들려면 한 전 위원장 같은 분이 반드시 나와야 된다"고 강조했다.

김재섭 당선인도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자신이 '한 전 위원장의 출마 가능성은 49%'라고 밝힌 데 대해 "아직까지는 출마 안 하실 가능성이 더 높지만 거의 임박했을 만큼 그 가능성이 높아졌다라는 이야기인 것 같다"며 "출마 가능성을 처음에는 10% 안 된다, 한 5% 될까라고 생각이 됐는데 하루하루 출마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느냐"고 말했다.

김 당선인은 "한 전 위원장을 다시 불러내는 국민과 당원들의 요청들도 많은 상황"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거의 49%, 이제는 1%만 넘어가면 출마하실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떤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만큼 다시 등장하는 것은 아무래도 정치적인 상처가 또다시 날 것 같아서 걱정스럽기는 하고 안 나오시는 게 맞다고는 생각한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변하면 기꺼이 나오셔서 또 뛰셔야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박상수 인천 서구갑 당협위원장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한 전 위원장의 출마 가능성에 대해 "당심과 민심이 계속 위원장님을 소환한다 하면 그때는 아무래도 그걸 무시하기는 어려울 수 있는 상황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한 전 위원장이 지난 주말 글을 올린 데 대해선 "필요한 어떤 사안들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하기 시작하신 것 같고, 그것은 처음 비대위원장 물러날 때도 정치를 계속하겠다는 그거를 사실은 실천하기 시작했다라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다만 그 정치가 꼭 당 대표 출마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buen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