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중국 해저케이블 수리 선박 조심해"…미국, 구글·메타에 경고한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구글, 메타플랫폼 등 빅테크(정보기술 대기업)에 국가안보 위협 우려를 이유로 '중국 해저 케이블 수리 선박 주의' 경고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반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발달로 인한 정보 보호 중요성을 강조하며 해저 케이블 등 해저 통신망에서의 중국 영향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머니투데이

중국 국영 해저 케이블 수리 업체 ' SB서브머린시스템(SBSS)'의 선박 '푸하이호' /사진=SBSS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무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 정부가 자국 빅테크에 사용하는 태평양 해저 케이블이 중국 수리 선박의 조작에 노출돼 국가안보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며 비공개적으로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국무부 관계자는 중국 국영 해저 케이블 수리 업체인 SB 서브머린 시스템(SBSS) 소속 수리 선박이 최근 위성·무선 추적 서비스에서 위치를 숨기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경고의 배경을 설명했다.

구글 등 미국 빅테크는 자체 해저 케이블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케이블 유지·보수 등은 전문 업체에 의존하고 있고, 이 중에는 중국 국영 기업도 있다. 전 세계 거의 모든 인터넷 트래픽은 수십만 마일에 달하는 해저 케이블에서 이뤄진다. 수십 개의 케이블이 태평양 해저를 가로지르며 미국, 아시아 및 여러 도서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SBSS는 미국 빅테크 등의 해저 케이블을 수면으로 끌어올려 손상된 광섬유를 복구하고 해저로 되돌려놓는 방식으로 해저 케이블을 수리한다. 미국 관리들은 SBSS가 바다에 있는 케이블을 수리 목적으로 바다 위로 운반할 때 변조에 취약하고, 이 과정에서 수리 선박들이 민감한 정보 유출에 가담할 수 있어 안보 위협을 촉발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아울러 중국군을 위한 해저 케이블을 추가 설치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해 선박의 위치 신호 송출을 의도적으로 중단한다는 것이 미국 측의 주장이다.

SBSS는 1995년 중국과 영국의 합작투자로 설립된 회사다. 중국 국영 통신사 차이나텔레콤이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고, 영국 글로벌마린시스템으로부터 나머지 지분을 인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회사 홈페이지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원인 리화(李?)가 지난 2020년 5월부터 회사 노동조합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머니투데이

중국 상하이 황푸강에 정박 중인 SBSS의 해저 케이블 수리 선박 '푸타이호' /사진=SBSS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WSJ의 자체 분석 결과 푸하이, 푸타이, 볼드 매버릭 등 SBSS 선박은 대만,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해안에서 운항하던 중 며칠 동안 위성 선박 추적 서비스에서 사라졌다. WSJ은 "지난 5년 동안 SBSS 선박의 위치 추적 서비스는 주기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미 정부 고위 당국자는 WSJ에 "선박 정전 등으로 위치 신호 송출 중단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이런 일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특히 군사 통신과 같이 전략적 중요성이 있는 (해저) 케이블 근처에서 발생한다면 (국가안보 위협) 의심이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측은 미 국무부의 이런 주장에 격하게 반발했다. 미 워싱턴 주재 중국 대사관의 류펑위 대변인은 "중국 기업이 법에 따라 정상적인 사업을 수행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미국이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해 중국 기업을 공격하고 명예를 훼손하는 것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이런 경고에도 기업들이 당장 SBSS 수리 선박을 대체할 중국 이외 다른 국적의 선박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해저 케이블 수리 선박의 수가 제한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컨설팅업체 인프라애널리스틱스의 마이클 컨스터블은 "전 세계적으로 해저 케이블 수리 선박은 노후돼 가는 약 50척"이라며 "이들 중 (SBSS를 대신할) 선택지는 거의 없다"고 짚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