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이번엔 PC?…빅테크 AI 경쟁, MS의 묵직한 '한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1~23일 '빌드 2024' 개최
'윈도' 보유한 MS…'AI PC' 전략 관심

머니투데이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S(마이크로소프트)가 글로벌 AI(인공지능) 경쟁의 핵심 플레이어로서 기술력을 과시한다. MS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PC 운영체제 '윈도'를 기반으로 AI PC를 내세운다. 오픈AI의 GPT-4o 공개, 구글의 연례 개발자회의 'I/O 2024' 개최에 이어 MS도 글로벌 빅테크 간 AI 경쟁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구도다.

20일(이하 현지시간) 여러 미국 IT(정보기술) 매체에 따르면, MS는 오는 21~23일 미 시애틀에서 개발자 컨퍼런스 '빌드(Build 2024)'를 개최한다. MS는 이날 공식 X(옛 트위터) 계정에서 "A New era is coming(새로운 시대가 오고 있다)"고 알렸으며, 이번 행사에서는 최신 AI 기술 현황과 개발 역량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최대 관심사는 전 세계 PC OS 시장에서 절대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윈도를 기반으로, MS가 어떤 방식의 AI 기술을 선보일 것인지다. 최근 AI 기능을 내장한 온디바이스AI 스마트폰이 시장의 관심을 끌었던 것처럼, PC 부문에선 MS가 AI 기능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MS는 키보드에 '코파일럿' 버튼을 탑재, AI PC 확산에 나서왔다. 또 사티아 나델라 MS CEO(최고경영자)는 지난 1월 "올해는 AI가 '모든 PC의 필수 부품'이 되는 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AI PC의 핵심 하드웨어는 NPU(신경망처리장치)다. 전통적인 CPU(중앙처리장치)의 기능을 넘어 AI 작업을 특별히 처리하도록 설계됐다"고 전했다. 이에 기존의 온디바이스AI가 제공했던 실시간 통번역, 음성녹음과 기록·요약 등을 넘어 자동화된 추론과 콘텐츠의 생성 등 작업에 특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머니투데이

/사진=MS X계정.


이와 함께 MS는 컨퍼런스에서 퀄컴 칩 기반의 새로운 윈도에 대해 다룬다. 퀄컴은 ARM 기반의 아키텍처로 구동되는데, MS는 이번 행사 중 한 세션을 '차세대 ARM 기반 윈도'로 정했다. CNBC는 "윈도가 퀄컴칩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것이 인텔·AMD 버전의 윈도와 어떻게 다른지 다룰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MS가 지난해 11월 공개했던 자체 개발 AI 반도체 '코발트 100'도 선보일 전망이다. AI 연산량 확대로 전력 소모가 급증하는 상황을 겨냥한 전략이다.

이와 함께 MS의 AI사업 최고책임자인 무스타파 술레이만이 연사로 나선다. 과거 '알파고'를 탄생시킨 구글 딥마인드를 데미스 허사비스 CEO와 함께 설립한 인물이다. 올 3월 합류 이후 초거대AI 'MAI-1'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MS의 이번 컨퍼런스는 빅테크 간 AI 경쟁이 고조되는 시점으로 더욱 눈길을 끈다. 우선 오픈AI는 이달 13일 음성 기반의 AI 비서 'GPT-4o'를 공개했다. 더 빠른 응답은 물론 사용자의 목소리와 표정을 통해 감정까지 유추해 대답하면서 화제를 모았다. 하루 뒤에는 구글이 연례 최대 행사 'I/O 2024'를 개최하며 맞불을 놓았다. 최신 생성형AI 모델 '제미나이'를 검색엔진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에 탑재하면서 "제미나이 생태계의 시작"을 알렸고, 멀티모달 AI비서 '프로젝트 아스트라(Project Astra)' 출시도 예고했다.

1주일 전후 이어지는 빅테크 간 기술 경쟁으로 AI사업의 주도권 경쟁은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오픈AI가 '챗GPT' 신드롬으로 AI 혁신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주목받지만, MS는 오픈AI의 핵심 투자사다. MS의 AI 모델인 코파일럿은 오픈AI의 LLM(거대언어모델) GPT가 기반이고, 검색엔진 빙(Bing)도 코파일럿 적용 후 점유율이 올랐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