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첫날부터 아차차… 어르신들, 모바일신분증 내려받다 진땀[병원 갈 때 신분증 필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장르포] 혼란의 병원 접수대
신분증 없어 발길 돌린 환자들
"계도기간 두고 적극 홍보해야"
'대안' 모바일 건강보험증도 한계
"디지털 약자 노인층 접근성 낮아"


파이낸셜뉴스

20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 병원에서 환자가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다운로드하고 있다. 사진=노유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일부터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을 때는 신분증을 반드시 챙겨야 한다.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됐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 명의로 건강보험을 대여·도용하는 부정수급을 차단하려는 목적이다. 신분증이 없으면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해 진료비 전액을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

이런 내용의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첫날 병·의원 현장 곳곳에서는 혼란이 발생했다. 제도를 미리 알지 못한 환자들은 신분증이 없어 발길을 돌려야만 했다. 병원 접수대에서는 신분증 때문에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신분증의 대안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급하게 내려받기도 했지만 모바일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은 방법을 몰라 답답해했다.

■신분증 찾아 발길 돌리기도

이날 서울 마포구 소재 동네 병·의원 접수대는 신분증을 확인하고 해당 제도에 대해 문의하느라 북새통을 이뤘다.

원무 직원들은 "신분증 갖고 오셨느냐"고 연신 물어봤고, 제도에 대해 설명하느라 시간을 썼다. 환자들은 "오늘부터냐" "안 가져왔는데 어떡하냐" 등으로 당황하는 모습이었다. 일부 환자들은 신분증을 가져오기 위해 급하게 병원을 나서기도 했다.

강모씨(65)는 차에 두고 온 장애인 등록증을 갖고 오기 위해 주차장까지 왕복 10분 거리를 다시 오갔다. 강씨는 "뉴스를 대충 보기는 했는데 큰 병원만 신분증을 확인하는 줄 알았다"며 "시간을 다투는 사람한테는 문제가 많은 제도로 보인다. 계도기간을 줬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행 첫날인 만큼 병원 접수 직원들도 혼란을 겪어야 했다.

장애인복지카드가 곧 장애인 등록증인 것을 모른 접수직원은 장애인 등록증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는 일도 있었다. 이후 주민등록번호도 나와 있는 정식 신분증이라는 환자 측의 설명을 듣고 나서야 접수했다.

■모바일신분증 이용 '진땀'

실물 신분증이 없을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 앱을 통해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이용할 수 있다. 병원마다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에 대한 포스터와 함께 앱을 내려받을 수 있는 QR코드가 붙어 있었다. 문제는 모바일 기기가 어색한 어르신들이었다.

신분증을 아예 집에 두고 온 김모씨(64)는 현장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내려받아야 했다. 김씨는 "눈이 침침해서 글자가 안 보인다"며 애꿎은 휴대폰 화면을 1~2분간 두드린 끝에 병원 직원의 도움을 받아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김씨는 "돋보기안경을 쓰면 잘 보이는데 하필 놓고 왔다"며 "작은 글씨를 볼 때 불편해서 도저히 혼자서는 할 수 없을 것 같더라"고 토로했다.

우려의 목소리도 일부 나왔다.

30대 후반 이모씨 또한 신분증을 깜빡했다가 당일 앱을 내려받았다. 이씨는 "어르신들은 휴대폰 이용이 어렵고 다른 사람에게 설치해달라고 요청하기도 어렵다"며 "휴대폰으로 카드결제가 다 되니까 지갑 자체를 들고 다니지 않는다. 신분증을 들고 다녀야 한다는 것을 좀 더 홍보해야 할 것 같다"고 지적했다.

yesyj@fnnews.com 노유정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