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부동산 부진에 정책대출 공급도 줄어... 가계 빚 1년 만에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계대출·카드 빚 동반 감소
"GDP 대비 가계부채 하향 안정화"
한국일보

9일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유리창에 대출상품 관련 현수막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분기(1~3월) 우리나라 가계 빚 규모가 2조 원 이상 줄면서 1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주택 거래 부진 속 정책대출 상품 공급이 축소되고, 연초 신용카드 사용도 줄었기 때문이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1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전 분기 대비 2조5,000억 원(-0.1%) 감소한 1,882조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감소(-14조4,000억 원) 이후 3분기 연속 늘어 연말 1,885조4,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를 찍었다가 마이너스(-) 전환한 것이다. 가계신용은 가계대출에 판매신용(신용카드 사용액 등 외상거래)을 더한 지표로, 포괄적인 가계부채 현황을 보여준다.

가계 빚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1,767조 원)이 직전 분기보다 2,000억 원 줄어 마찬가지로 1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폭이 지난해 4분기 15조2,000억 원에서 1분기 12조4,000억 원으로 줄고, 같은 기간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감소폭은 커졌기(-9조7,000억 원→-12조6,000억 원) 때문이다.
한국일보

가계 빚 분기별 증감 추이. 그래픽=신동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정석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정책 지원 대출 공급이 축소되고, 연말 전후 감소한 주택 거래량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주담대 증가폭이 줄었다”고 말했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주택금융공사 정책 모기지가 감소(상환)로 돌아섰고,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전체적인 디딤돌·버팀목 대출은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에 그쳤다는 설명이다. 기타대출의 경우 비주택 부동산 담보대출 감소세가 지속됐고,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을 주담대로 갈아타는 움직임도 이어졌다고 부연했다.

비중은 적지만 카드 빚 등 판매신용(115조8,000억 원)도 2조3,000억 원 줄었다. 3분기 만의 감소다. 통상 판매신용은 연말에 늘었다가 연초 줄어드는 식의 계절적 패턴을 보인다. 이를 고금리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보는 건 과도하다는 게 한은 평가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로 3년 반 만에 100%를 밑돌았다. 올해 전망도 긍정적이다. 서 팀장은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대책 조치가 효과를 내면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하향 안정화하는 추세”라며 “향후 주택시장 회복 여부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가능성에 유의해 가계부채 비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강유빈 기자 yubi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